부제목 :
대선 후보 선출과정 국민과 함께 역동적으로 해야"
새누리당 김용태(양천 을) 의원은 26일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논란과 관련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는 그 어떤 것이라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도입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뉴스파인더)김문수 경기도지사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 의원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 "저희에게 가장 중요한 절체절명의 목표가 바로 정권 재창출"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경선이라는 과정에서 우리가 단 한사람만 바라보고 대선 때까지 기다린다는 것은 허망한 이야기"라며 "대선 후보 선출과정에 다이나믹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자"며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촉구했다.
그는 역선택 우려에 대해서는 "여야가 합의해서 동일한 날 오픈 프라이머리를 하면 역선택 문제는 원천적으로 봉쇄된다"고 일축했다.
또 '당심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는 "이번에 총선에서 국회의원 후보를 뽑을 때 당원들의 의사는 전혀 묻지도 않고, 일반 국민을 상대로 해서 여론조사를 해서 뽑았다"며 "현대 정치에서 지금은 당원들 중심의 정당이 아니라, 포괄정당형태로 가고 있다. 당원에 가입했다고 해서 당에 근간이 되는 게 아니고, 그 당의 가치와 정책을 지지하는 국민들은 광위로 봤을 때 그 정당을 지지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여론조사가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기에 여론조사 방식 등으로 후보를 정하는 것은 있을 수 없고, 국민들의 의사를 직접 물어보는 게 좋다"며 "그래서 새누리당 뿐만 아니라 야당까지도 국민의 의사를 직접 물어볼 수 있는 방식. 즉 완전국민경선제를 공직 선거법 개정을 통해서 이뤄내보자"라고 촉구했다.
그는 '지지율이 1~2% 될까 말까 한 주자들에게 유리하게 경선방식을 고쳐야 한다는게 말이되는가'라는 친박계에 김재원 당선자의 지적에 대해서는 "(박근혜 위원장)추대를 하자는 말 밖에 안 된다"면서 "표의 확장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대선 후보 선출과정을 국민들과 함께해서 역동적으로 끌고 나가야 한다"며 거듭 완전국민경선제를 주장했다.
새누리당의 친박계 지도부 내정문건에 대해서는 "아마 있지 않았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우려가 나왔으니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 (사실이라면) 뭣하러 전당대회를 열고, 돈을 들여가면서 여러 가지 행사들을 하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책임 있는 분들의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양천구 을에서 재선에 성공한 이유에 대해서는 "주민들께서 사람을 보고 뽑자는 그런 바람이 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