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오는 5월 1일 정규직 으로 전환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가 시 본청사업소 325명, 투자 출연기관 808명 등 최종 1,133명으로 확정됐다.
시는 지난 3월 22일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계획에서 발표한 1,054명보다 79명이 늘어난 인원이다.
시는 후속조치와 관련 해당 부서(기관)를 대상으로 사전교육 안내 및 지속적 협의와 모니터링을 통해 5월 1일 일괄전환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해 왔다.
시가 전국 최초로 추진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은 2년 이상 상시 지속적 업무 종사자 정규직 전환 호봉제(1-33호봉)도입을 통한 고용의 질 개선 전환제외자에 대한 복지포인트 명절휴가비 지급 등 처우개선 호칭 개선(상용직-공무직), 교육과정개설(서울시 인재개발원) 등 관리제도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또한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선도적 대응차원에서 정부 지침에 비해 전환기준을 완화하고, 임금 및 후생복지, 전환방식 등의 면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했다는 특징이 있다.
시는 정규직 전환이 확정된 1,133명을 대상으로 전환을 하루 앞둔 30일 오후2시 서울시립대학교 대강당에서 시 정규직 전환 직원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한다.
오리엔테이션에서 박원순 시장과 정규직전환자가 많은 서울시설공단 세종문화회관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대표가 직종별 대표 10명에게 공무직임용장과 신분증을 직접 수여한다.
시는 공무직을 사무보조원 시설관리원 공원녹지관리원 도로보수원 환경미화원 청원경찰의 6개 직종으로 나누고, 기존 신분증으로 사용하던 출입증은 사진과 담당업무를 명시한 공무직증으로 변경 발급한다.
또한, 서비스강사 손민지씨가 공공기관 종사자가 갖춰야 할 가치관과 시민 대상 서비스 방안 등에 대한 교육도 실시한다.
시는 이번 오리엔테이션과 교육을 시작으로 ‘공무직 교육과정’과 미전환 비정규직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해 공공기관 종사자로서 갖춰야 할 역량 함양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은 시민봉사, 친절서비스 등 공공기관 종사자의 가치관과 서울시정 이해, 컴퓨터 활용 및 사무실무 등 직무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기관별로 진행한다.
또한 2013년부터는 시인재개발원에 ‘공무직 교육과정’을 신설해, 더 많은 공무직원들이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가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시는 오는 9월까지 2단계 연구용역을 실시해 연내 ‘비정규직 관련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연구용역은 1단계 전환대상에서 제외된 업무실태 재조사 민간위탁 파견용역 등 간접고용비정규직의 고용개선 무기계약직 업무특성과 종류·난이도를 고려한 직제·임금의 합리적 개편 민간부문 고용개선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주 내용으로 한다.
박원순 시장은 민간위탁, 파견 용역 등 간접고용 비정규직의 고용개선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향후 상시 지속적인 업무에 대한 정규직 채용 원칙 확립과 민간부문으로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힐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