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김문수 완전국민경선제를 여야 합의로 도입 해야
대권도전을 선언한 새누리당 비박 잠룡들이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독주를 견제하고 나섰다.
(뉴스파인더)새누리당 정몽준 의원과 이재오 의원은 16일 새누리당 지도부가 친박 일색인데 대해 우려를 표하며 공정한 경선을 위해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주장했다.
정 의원은 이날 새누리당 대전시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박 전 위원장의 대세론에 대해 "지난 4.11 총선에서 우파연대의 지지율이 좌파연대에 뒤진 만큼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올해 새누리당 대선후보는 새누리당 지지율에 5%를 더해야 승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지난 4.11 총선 과정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순번의 이유를 당으로부터 듣지 못했다며 "투명성 면에서 통합진보당보다 낫다고 할 수 있는지 되돌아 봐야 한다"고 고집었다.
이재오 의원도 이날 기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이제 대선 후보 중 한 사람일 뿐이기 때문에 (당 지도부가) 눈치를 봐선 안 된다"며 "'이래 갖고 정권을 잡겠냐'는 얘기가 나오면 눈치 본 사람도, 눈치 준 사람도 갑갑해진다"고 밝혔다.
특히 새 지도부가 친박(친박근혜) 중심이라는 세간의 평가에 대해 "대선후보 경선 관리와 관련해 우려가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 "만일 일방적으로 당을 운영하면 이제 다른 주자들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완전국민참여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란에 대해서는 "(8월쯤으로 예상되는) 경선 시기를 늦추면 된다"며 "야당은 후보 결정 때까지 복잡한 과정을 거칠 것이기 때문에 거기(야당 일정)에 따라 진행해도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통합당이 먼저 오픈프라이머리로 자체 후보를 뽑고 야권연대 후보와 2차 경선을 한 후 안철수 교수 같은 사람과 다시 경선을 하면 국민의 관심이 쏠릴 것"이라며 "그런데 우리가 박수치고 끝내면 표의 확장성이 떨어져 본선에서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2%에도 못 미치는 지지율에 대해서는 "이제 선거판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국민 속으로 어떤 비전과 정책을 갖고 파고드는지가 중요하지 지금의 조사는 의미가 없다"며 "(지지율) 몇%에 신경 쓰는 게 아니라 즐거운 마음으로 선거운동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또 다른 비박주자인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앞선 15일 저녁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려 신임 당대표에 선출된 황우여 대표에게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촉구했다
그는 민심과 당심의 일치를 위해 완전국민경선제를 여야 합의로 도입하고, 당내경선도 중앙선관위가 관리하도록하는 선거법개정을 주도해주시기 바랍니다"라며 자신이 일관되게 주장해 온 '경선룰 개정을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