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인 11일 오후 수만명의 인파가 서울시청 앞 광장을 가득 메운 가운데, 개정 사학법의 재개정을 촉구하는 궐기대회가 열렸다.
사학수호국민운동본부´가 주최한 이날 대회에는 교육계·종교계 뿐만 아니라, 정계·시민사회단체 등 각계 인사들이 함께 했다. 정계에서는 한나라당 이재오 원내대표를 비롯, 이규택 최고위원과 엄호성 의원 등이 참석했다.
운동본부는 채택한 결의문에서, 개정 사학법´을 "건전하게 학교를 운영해 온 대다수 사학의 명예와 자부심을 짓밟는 악법"이며 "헌법상 부여된 사학의 자율 운영권을 부당하게 침해하고, 종교교육 및 신앙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적 폭거"로 규정했다.
더불어 "전교조의 편향된 주장이 전폭적으로 반영된 것"이라며 "과격한 정치 이념 교육이 확산될 것"을 우려했다.
사학´에 대해서는 근대화 교육의 효시로서 암울했던 19세기말과 일제 강점기에 민족지도자 양성의 산실이었으며,해방 이후에도 정부를 대신해 국가적 인재와 산업인력 양성에 헌신해 왔다"며 "이러한 공헌은 송두리째 부정하고 오로지 비리집단으로 몰아 경쟁력 있는 사학마저 하향평준화 시키려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특히 "정부가 사학에 대한 전면적 감사를 실시하겠다는 발표에서 보듯, 비리사학에 대해서는 기존 법률에 의해서도 단호하게 처벌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며 "따라서 개정 사학법은 이미 그 명분을 잃었으므로 폐기하고 재개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들은 "사학수호와 국가수호를 위한 1천만 서명운동"과 함께 "사학법 재개정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국민저항운동´을 전개할 것"을 선포했다.
한국사학법인연합회 조용기 회장은 "사학의 투명성"을 강조하면서도, "이를 빌미로 사학의 자율권을 침해하는 독소조항엔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사학에 ´사정´의 칼을 대는 것은, 보복적·정치적 의도가 담긴 표적 감사"라며 "국공립학교와의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서강대학교 이사장인 박홍 신부는 이날 참석한 이재오 원내대표를 향해 "우리는 여당도 야당도 아닌 ´교육당´을 지지한다"며 "사학법 재개정은 국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 김한길 원내대표가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 "머리 허연 양반, 여기 안계시네"라고 우회적으로 지적해 청중들의 폭소를 이끌어내기도 했으며, 북한의 가치교육´은 미쳤고, 남한은 썩어다"며 둘이 만나니 어떻게 되겠느냐"고 현 남북관계를 꼬집는 듯한 발언도 했다.
NGO 대표로 연단에 선 기독교사회책임´의 서경석 목사는 사학법 개정에 앞장선 것은 ´전교조´다. 사실 국민들이 지지하지도 않는 단체가 앞장섰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들 절반이 사학법 개정에 찬성하고 있다. 왜 몰라줄까!"라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전교조야말로 나라 망치고 척결되어야 할 세력이다. 그들이 사학을 공격하는 부분이 모두 틀렸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며 "이번 기회에 사학들도 자기반성 해야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종교·교육계가 사학법 개정을 반대하는 것은 신앙과 교육의 자유´를 훼손하기 때문이지만, NGO(시민사회단체)가 반대하는 이유는 민주주의를 훼손하기 때문"이라며 "방송 대법원헌법재판소에 이어 이제 사학마저 정부 손아귀에 들어간다면, 그 다음부터는 또 어떤 것이 정부 통제에 들어갈지 모른다"고 부연했다.
이날 무대에서는 "대한민국"이란 구호가 자주 나왔다. 연사들은 저마다 사학법 개정은 교육 뿐 아니라 나라를 죽이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행사를 끝내며 울려퍼진 음악도 조국찬가´였다.
한편 이날 대회현장에서는 국민행동본부·국사모·나라사랑시민연대·나라사랑어머니연합·북핵저지시민연대·자유개척청년단·자유넷·자유사랑청년연합·자유청년연대·활빈단 등, 자유진영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시민들을 대상으로 저마다의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