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盧정부 말기에 구축한 이지원…준공검사 확인서에서 확인
노무현 정부 말기에 구축한 이지원 시스템이 당초보다 훨씬 많은 삭제항목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뉴스파인더] 새누리당 김기현 의원(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울산 남구 을)이 11일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에 따르면, e지원시스템 초기화 기능 등 총 94개 항목에 대해 삭제가 가능하도록 S/W기능을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기능점수 세부내역에서 삭제가능한 시스템 기능별로는 재분류된 기록물을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 기능 7개 지정 지시사항 이관 기능 3개 비밀 및 지정기록 관리 기능 5개 청와대 인계인수 기능 개선 기능 7개 차기 청와대가 사용할 수 있도록 e지원시스템 초기화 기능 60개 참여정부 업무자료시스템 구축 기능 1개 국정관리시스템 연계기능 강화 기능 1개 e지원 기능개선 기능 10개 등 총 94개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기록/지정기록/비밀기록에 대한 인계관리 기능도 삭제할 수 있도록 했으며, 비밀관리대장, 비밀이력관리, 지정기록이력관리 등에 대해서도 삭제할 수 있으며 심지어 대통령말씀도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김 의원은 “당시 참여정부 관계자들은 이지원에 대한 삭제기능이 없다 있다 등 오락가락 했지만 사실상 이지원 삭제기능이 무려 94개 항목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차기정부에 인계인수체계를 갖추고 차기정부에서 업무자료를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면서 왜 삭제기능을 만들었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