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O포럼, 창립 1주년 기념 세미나
“한·일 양국 새 정부가 출범한지 1년이 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미래 지향에 대한 발전과 고민보다는 과거사에 묻혀 불신과 대립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양국의 국민감정은 악화되어 교류와 발전을 저해하는 깊은 터널에 빠져 들고 있는 실정이다.”
한·일은 가깝고도 먼 나라가 아닌, 진정 가깝고 사이좋은 이웃나라로 발전할 수 있을까?
한·일 양국의 정계·재계·학계·언론계 등 인사로 구성된 SETO(Seoul-Tokyo)포럼(회장 현명관 한국마사회 회장)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세토포럼(SETO FORUM) 창립1주년을 맞아 ‘한·일 갈등 터널의 끝은 보이는가?’란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 23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세토포럼(SETO FORUM) 창립1주년을 맞아 ‘한·일 갈등 터널의 끝은 보이는가?’란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konas.net
신각수 국립외교원 국제법센터 소장(전 주일대사)은 주제발표에서 ‘한·일관계의 회복 방안’에 대해 한·일 관계의 현주소로 “최근 일본의 고노담화 검증사례에서 보듯이 최소한의 신뢰 확보에 어려울 정도로 악순환의 사이클이 지속되고 있다”며 리셋(Reset)방안으로 정상회담 조기 개최 여건 조성 주요 현안에 대한 접근 모색 관계회복을 위한 양국간 모든 채널 가동 등을 제시했다.
염재호 고려대학교 부총재는 ‘한·일관계의 갈등과 전망 - 오해와 이해사이’ 발제를 통해 “지난 반세기 동안 일본은 한국의 중요한 외교 및 파트너인 동시에 가해자와 피해자로 나뉜 식민지의 역사적 유산을 청산하지 못한 이웃”이라고 지적했다.
그
러면서 “한일관계의 악화는 상호 불이익을 극대화 시킬 뿐만 아니라 미래지향적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관용과 이해로 양국이 협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바람직한 한·일관계를 위한 제언으로 “관용(Tolerance)의 문화 확산 상이한 벡터(Vector)의 간극 축소 지식인들의 역할 매스컴의 역할 미래지향적 학술교류 활성화 한·중·일 생활공동체(Life Community)의 구축”을 주장했다.
이수철 한일경제인회의 상임이사는 “두나라의 정치적인 마찰이나 소통의 부재는 양국 국민들 간의 친밀감을 떨어뜨림은 물론이고, 나아가 민간 소비의 위축으로 이어져 양국 경제에 있어서도 마이너스 요인으로 나타고 있다”며 ‘먼저 친구가 된 후에 사업 애기를 하라’는 중국의 금언을 사례로 들면서 인간관계를 통한 경색된 한일관계를 풀어나갈 것을 피력했다.
일본측 발제자로 나선 오카미야 요시부미 동서대학교 대학원 석좌교수(일본 도쿄대학 / 게이오 대학 객원교수)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창문 저편에 있는 인물을 추악한 점, 싫은 점이 확대되고 왜곡되어 보이는 ‘특수한 유리창’이 있기 때문”이라며 선의의 특수 유리로 된 창문을 통해 ‘일그러진 유리창’을 떼어내고 국교정상화 50년을 위한 두 정상의 정치 결단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다카스기 노부야 김&장 법률사무소 상임고문은 “경제교류, 문화교류, 청소년 교류·스포츠교류, 지방자치제 교류·관광교류가 정치, 외교와 관계없이 심화되고 있다”며 “이들 교류가 정상화 될 때 정치, 외교의 불협화음이 협화음으로 바뀌고 갈등의 터널을 빠져 나오게 하는 엔진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SETO은 소수정예의 한·일관계 전문가 회의를 표방하는 ‘Seoul-Tokyo포럼’의 약자로 한·일 간 여러 현안에 대한 냉철하고 이성적인 진단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양국관계 발전을 모색하고 정책적 제언을 수렴하는 취지에서 지난 해 7월 발족됐다.(Kon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