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에는 국회격인 중앙종회가 있다. 중앙종회의원은 모두 조계종의 비구승(독신승)이요, 중진 승려로서 구성됐다.
이법철(大佛總, 상임지도법사) 90년대 초 중앙종회를 열어 회의를 하는 중에 당시 조계종 총무원장이 격분한 상태로 종회석상에 들어와 모든 종회의원들을 향해 격노하여 외쳤다. “우리 모두 이 자리에서 스스로 바지를 벗어 단 한 번도 여자 관계를 하지 않은 청정 비구승이 있는 지, 검사하고, 부처님을 향해 고백하자!” 일순 종회의원들은 아연(啞然)했다.
당시 총무원장이 격노한 것은 일부 종회의원들이 총무원장의 여성편력 문제를 가지고 유인물을 만들어 조계종 소속 전국 사찰에 뿌리듯 하고, 심지어는 각 언론계와 대통령, 삼부요인, 보안사, 정보부 등에 마구잡이로 우편으로 보냈다. 유인물의 주장은, 총무원장이 지엄한 불계(佛戒)를 범했으므로 당장 총무원장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반 사회나, 결혼을 당연시 하는 타종단에서는 하등 시비거리가 못되지만, 청정 독신승들의 종단인 조계종에서는 여성문제는 중죄로서 모든 공직에서 떠나는 요인 중에 요인이다. 예컨대 제아무리 학덕이 고준하고, 대선사, 등 존칭을 받는 승려라도 여성과 합궁(合宮)한 사실이 밝혀지면, 조계종에서는 내쫓기는 처량한 신세로 돌변한다.
첫째, 여타 비구승들이 여성과 합궁을 이룬 승려를 규탄하고, 둘째, 여성신도들이 격노하여 입방아를 찧고 개쫓듯 하는 작태를 보이는 것이 조계종의 여성불자들이다. 결론하여 조계종 비구승은 여성의 손조차 잡아서는 안되는 것이다. 하지만 조계종의 어느 분석가는 논평하기를, “자신이 여자의 손을 잡으면, 원효대사와 요석공주(瑤石公主)의 아름다은 사랑”이고, 타인이 하면 지엄한 불계를 범했다고 규탄에 나선다.
한국불교계 대부분의 여성 불자들은 독신승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소속의 사찰에 나가 신앙생활 하기를 좋아한다. 반면에 결혼한 승려들인 소위 대처승(帶妻僧)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녀들의 주장인즉 “불계(佛戒)를 지키지 않는 승려는 존경할 수 없다.”는 것이다. 승려가 청정 비구승 노릇을 하지 않고, 여성과 합궁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여성불자들은 하루아침에 돌변하여 냉소는 물론 성이 나 맹비난하고, 사찰에서 추방하려 한다. 따라서 조계종 승려들은 자신의 수행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여성신도들에게 비난을 받지 않으려고 여성과의 합궁 추문이 발생할까 전전긍긍하기도 한다. 여성불자들은 자신들은 속세인이기 때문에 합궁은 당연한 것이지만, 조계종의 승려들은 독신승으로 청정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종 중종(中宗) 때 명기(名妓)인 황진이(黃眞伊)이가 지족선사를 찾아가 합궁한 뜻을 아시는가? 화두 삼아 정진해볼 일이다.
황진이는 당시 고려에 고승으로 명성을 떨치는 지족선사(知足禪師)를 찾아가 공손히 법문을 요청하면서 유혹의 색기(色氣)를 총동원했다. 황진이는 그동안 고려에 내노라하는 사대부들에 색기로 유혹하여 충견(忠犬)처럼 황진이의 아랫도리에 향취를 맡게 하는 것은 물론 하는 절정고수(絶頂高手)인 천재적이었다. 황진이는 이 세상 어느 놈이던 충견처럼 아랫도리에 향취를 맡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넘쳤다. 어느 날 그녀에게 지족선사의 명성이 들려왔다. 청정 비구승이요, 고승이다.
황진이는 지족선사를 찾아가 우선 핑계로 고준한 법문을 듣고자 한다고 간청하여 법문을 들으면서 충견 만들기 작전을 벌인 것이다. 이 때 고승인 지족선사는 황진이의 계책을 파악하고 법문의 여러 말을 늘어놓을 것 없이 황진이를 방안에서 내쫓아 내는 것이 최고의 법문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작금의 승려들에 법문을 듣고자 한다면서 유혹하는 여인을 보면, “산은 산, 물은 물”이라며 법문 끝을 말하고 보내버린다.
지족선사는 황진에게 자신이 깨달은 무진법문(無盡法門)을 힘차게 들려주고, 황진이는 갈고 닦은 무형내공(無形內功)의 색기를 지족선사를 향해 발사하여 유혹했다. 그 대결은 싱겁게 황진이의 승리로 끝났다. 법문을 하던 지족선사가 황진이의 아랫도리 냄새를 맡는 충견으로 돌변했고, 황진이의 배위에서 감격에 찬 감창(甘唱)의 신음소리를 내 질러 댄 것이다. 연속하여 합궁을 하자고 졸라대는 지족선사를 밀치고 황진이는 깔깔깔 웃어대고 치마를 입고 방문을 나서며 황진이는 법문같이 다음의 일언(一言)을 남겼다.
“헛된 명성이었구먼. 공부 좀 더 해!”
금강경의 “모든 것이 허망하다(皆是虛妄)” 속에 지족선사는 황진에게 충견 노릇 한 번에 이 땅에 불교가 망해 없어지는 그 날까지 불교계는 물론 세상에 웃음꺼리가 되어 버렸다. 황진이는 개성 도처에서 지족선사는 법문 도중 자신의 아랫도리 향취에 빠져 인사불성이듯 했고, 배위에서 감창 소리를 질러 댔다는 보고서 아닌 소문을 퍼뜨리면서 깔깔깔 댔다. 개성의 여인들과 남성들은 황진이의 체험 보고에 의해 일제히 박장대소(拍掌大笑)로 번져 전 고려는 물론 오늘까지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일평생 수도하여 깨달은 고승도 예쁜 여인의 아랫도리에 코를 박았네.”
지금에도 황진이 같은 일부 여성은 분명 존재한다. 명성을 떨치는 고승을 찾아 법문을 간청하고서는 끝내는 합궁하고, 명성에 먹칠을 해버리는 간증을 해대는 여성들은 분명 존재하는 것이다. 지족선사의 행위는 오늘의 조계종 규율을 담당하는 호법부의 입장에서 본다면, 씻을 수 없는 “해종행위(害宗行爲)한 중징계 대상”이라고 논평할 수 있다.
황진이는 보통여자가 아니었다. 지족선사에게 충견처럼 자신의 향취의 냄새를 맡게 하고, 배위에서 감창(甘唱)의 신음소리를 내 지르게 한 것은 무료봉사(無料奉事)였다. 황진이는 “한 번만 더”를 간청하는 지족선사에게 정색하여 “공부 좀 더 해!”라는 훈시를 남기고 떠난 낭만적인 여성이었다. 단 개성으로 돌아가 개성 주민들에게 자신의 지족선사에 대한 체험보고를 한 것이 지족선사는 물론 불교계에 먹칠을 한 것이 과오일 수 있을까?
지금에 일부 여성 가운데는 황진이 같이 명성있는 고승들을 찾아 법문을 빙자하여 가까이 앉는 수법을 부린다. 황진이 뺨치는 수법으로 무형내공(無形內功)인 색기(色氣)를 근엄히 법문하는 고승에게 보내다가 돌연 고승을 충견처럼 여인의 아랫도리 향취에 빠지게 하는 데, 황진이처럼 낭만적인 목적이 아니다. 화대(花代)같은 큰 돈이 목적이다. 황진이 처럼 일회용으로 하고 떠나면서 “공부 좀 더 해!”라고 떠나지 않고, 돈을 바치는 성노예로 만들어 버리는 수가 종종 있다.
사찰에 고급 외제차를 타고와 주지스님을 찾아 자신이 1천억이 넘는 재력가라고 자신을 소개하고, 며칠 후 수십억의 시주를 할 것처럼 언어의 마술로 홀린 후 충견처럼 여인의 아랫도리 향취에 빠지게 하고, 급전(急錢)을 3-5억 쯤 빌려 사라지는 미인들이 있다는 보고다.
불교계 보다는 국가사회에 더 큰 문제가 있어 삽화(揷話)로 아래에 적는다.
지금에 TV등 언론에 갑자기 등장하여 자신이 남편과 북한을 수차 방문해보니 지상천국과 같더라는 식의 보고를 대한민국 국민을 향해 해대는 재미 교포 신모(某)여인과 일부러 북에 가서 아기를 낳은 황모(某) 여인 등이다.
항설(巷說)에 두 여인은 국민을 향해 “안녕 하세요. 자기 소개를 한다는 논평이 있다. 모 여인은 자신에게 좋지 않게 말하는 자는 “명예훼손 죄로 고소하고 있다”고 한다. 또, “박대통령과 면담하고 싶다”고 공개 신청을 하고 있다. 누구보다 필사의 탈출을 한 탈북 여성들이 몰려가 삶은 계란 생계란을 푸짐하게 선물로 주어야 할 것같다. 복숭아 나무 가지로 후려 치면 특효가 있다는 설을 나는 믿는다.
결 론=회의하는 종회의원들을 향해 총무원장이 격노하여 외친 주장을 되새겨 보자. “우리 모두 이 자리에서 스스로 바지를 벗어 단 한 번도 여자 관계를 하지 않은 청정 비구승이 있는 지, 검사하고, 부처님을 향해 고백하자!” 이 주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청정 비구종단에 요석공주( 瑤石公主)의 후예들, 황진이(黃眞伊)의 후예들, 사기녀(詐欺女)들이 사찰의 승려들을 파계시키고 있고, 사찰 경제를 장악하고 있다는 설이 헛된 설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은 아닐까? 하지만, 어느 심산유곡(深山幽谷)에 초암(草庵)에서 오직 불계를 지키며 부처가 되기 위해 용맹정진 하는 승려는 분명 존재한다고 희망을 가져야 하는 것인가?
혹한의 겨울이 오면, 가장 걱정되는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들이다. 부자들은 상하(常夏)의 나라에 가서 골프, 도박, 유흥 등 오락을 즐기면서 겨울을 지나 봄에 온다고 자랑한다. 대한민국을 졸(卒)로 보고, 미국 시민권을 이용하여 북한 찬양을 작심하며 “박대통령 만나자”는 자와 동패들의 이야기, 청와대 비서실의 추문, 세상에 조계종은 독신승 종단이라고 선전하면서 총무원장들이 은처승(隱妻僧)이라는 추문과 시비가 그치지 않는 가운데 좌파 노릇을 한다는 설 등은 혹한에 떨고 있는 일부 국민들을 더욱 짜증과 격분을 유발시킨다.
나는 권한다. 짜증나는 국민들은 재래시장을 찾아 막걸리 한 잔을 들고 웃음으로 세상을 보는 소오강호(笑傲江湖)하는 큰 도량으로 혹한과 고해를 극복하시기 바란다. 낙원동 지하 재래시장은 내가 가장 많이 들락거리는 명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