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 과제로 ‘친일잔재 청산 및 올바른 역사관 확립’ 꼽아
국민 10명 중 6명이 2015년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15 공동선언 15주년을 기념하여 남북 정부와 민간단체들이 함께 공동행사를 진행하는 데에 대한 찬성 여론도 높았다.
24일 여론조사기관 사회동향연구소(대표 김진실)가 만 19세 이상 유권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15년 박근혜 대통령과 김정은 제1위원장이 만나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66.2%였고 ‘반대한다’는 응답이 15.5%였다.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찬성여론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았고 새누리당 지지자에서도 75.7%로 높았다.
미국의 북한 제재 확대가 남북대화 추진에 방해된다 43.1%이다.
한편 새해들어 미국정부는 ‘소니픽처스 해킹’과 관련해 대북제재 확대 행정명령을 발동하였고 미 하원에서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한국 정부가 조속한 남북대화 추진의사를 밝힌 것과 대비되면서 한국정부의 남북관계 개선 방향을 미국이 불편한 속내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가 하는 해석도 있다.
미국의 북한 제재 확대가 남북대화 추진에 ‘방해가 된다’는 응답이 43.1%로 ‘방해되지 않는다’는 응답 38.8%보다 다소 높았다.
남북정상회담과 함께 15주년을 맞는 6.15공동선언 기념행사에 대한 공감대도 높았다. 6.15 공동선언 합의 15주년을 기념하여 오는 6월 15일 남북 정부와 민간단체 등이 함께 공동행사를 개최하는 데에 대해 ‘찬성한다’는 의견이 60.6%였다. 이는 지난 정부에서 남북 정상간 합의하던 6.15공동선언과 10.4 공동선언을 현 정부에서도 ‘계승해야 한다’는 응답 48.7%보다도 높은 찬성여론이다.
광복70주년 및 6.15 선언 15주년 등의 계기를 살려 정부간 민간단체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대한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의지에 대해‘낮다’는 평가가 60.9%였다. 전 연령대에서 낮다는 평가였는데 50대 이상에 비해 40대 이하 연령대에서 더욱 낮다는 응답이 많았다.
친일잔재 청산,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85.5%이다.
광복 70주년이 되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친일잔재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응답이 85.5%에 달했다. 또한 광복 70주년에 가장 중요하게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로 ‘친일 잔재 청산 및 올바른 역사관 확립’ 응답이 73.1%였고, ‘권위주의 독재 잔재 청산 및 국민주권 강화’가 55.7%였다.(1, 2순위 응답 계)
친일잔재 청산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친일행위 취득재산 국고환수’가 76.0%로 가장 높은 응답이었고 ‘식민지 근대화론 등 역사왜곡 퇴출’이 44.6%, ‘정부차원의 친일 인명 공개’가 32.5%로 그 뒤를 이었다.(1, 2순위 응답 계)
사회동향연구소는 광복 70주년의 국민여론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78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온라인조사로 진행하고, 지역별 연령별 성별 인구비례에 따라 표본수를 할당하여 추출한 후 실제 인구구성 비율에 맞추었다.
조사는 2월 5일부터 9일까지 진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 3.5 %p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