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문화관광산업 경쟁력 강화회의를 주재하고, 2017년까지 문화관광강국 초석을 다지기 위한 추진전략과 핵심과제를 논의할 예정이다.(사진=청와대)

이날 회의는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한 11개 부처 장차관 및 청장, 각 지자체와 관광업계 대표 등 150여명이 참석하며, 정부는 다음 네가지 정책의지를 밝힐 예정이다.
첫째로, 한국관광 정책방향을 종전 양적 목표에서 질적 목표로 전환.
저가 덤핑관광과 서울·제주 편중 등 양적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관광정책의 우선 순위를 질적 개선에 맞추고, 외국인 관광객 만족도와 재방문율 등 질적 지표를 중점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둘째, 한국의 진정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육성.
자연경관과 전통문화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코리아 둘레길을 조성하여 대한민국의 대표 콘텐츠로 브랜드화 하고, 한류 문화콘텐츠에 기반한 다양한 관광코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세계 유일의 DMZ 안보관광자원을 확충하고, 지역축제의 질적 차별화로 글로벌 명품축제를 육성할 계획.
셋째, 외래관광객의 불편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수요자 중심으로 서비스를 개선.
범정부 합동 대응팀을 구성하여 저가 덤핑관광에 강력히 대응하고, 프리미엄 상품개발 및 컨시어지 서비스로 중국·동남아 등 상류층 관광객을 적극 유치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 도심에 관광버스 승하차장을 지정하여 고궁 앞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고, 공유민박업을 도입하여 중저가 숙박시설도 확충하는 한편, 불편신고 원스톱서비스 통합시스템도 마련할 예정이다.
넷째, 관광내수 촉진과 기업체질 개선으로 신규 일자리를 창출.
겨울 여행주간 신설로 비수기 관광을 촉진하고, 전문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운영하여 창조관광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관광단지 내 주거시설 허용, 산악관광 활성화 등 각종 규제완화도 흔들림없이 추진할 계획.
문화관광산업은 한 분야, 한 부처의 힘으로는 경쟁력을 강화할 수 없으며, 문화·산업간 융합, 부처간 협업을 통해야만 실현할 수 있음. 이를 위해 국가관광전략 회의체를 신설하여 통합조정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오는 2017년 관광시장 57조를 달성하고, 7대 핵심 관광업종 분야에 신규 일자리 4만 3천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