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국내 금융 외환시장 안정에도 기여
한국디지털뉴스 정승로 기자=한국이 역대 최저 가산금리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을 발행했다. 불안한 세계 경제 속 한국의 높은 신뢰도를 재확인했다는 평가다. 정책브리핑에서 기획재정부는 7일 오전 약 13억 달러 규모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외평채는 10년 만기 달러화 표시 채권 5억 달러와 5년 만기 유로화 표시 채권 7억 유로로 나누어 발행(dual tranche)됐다. 발행금리는 10년물 달러채의 경우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에 25bp(1bp=0.01%포인트)를 더한 1.769%, 5년물 유로채의 경우 5년물 유로 미드스왑에 13bp를 더한 -0.053%다. 달러화 외평채는 지난해 최저 50bp에서 이번에 25bp로 낮아졌고, 유로화 외평채 가산금리도 지난해 35bp에서 13bp로 축소돼 모두 역대 최저 수준을 경신했다. 달러화 외평채 가산금리는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유사 잔존만기 외평채의 유통 가산금리보다 낮은 수준이다. 2030년 만기(9년물) 달러화 외평채 유통금리를 고려할 때 10년물 유통 가산금리는 약 28bp이다. 가산금리 축소에 따라 최근 지표금리가 상승했음에도 발행금리(지표금리+가산금리)는 지난해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유로화 표시 외평채의 발행금리는–0.053%로, 지난해에 이어 마이너스 금리 발행에 성공했다. 또한 해외투자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서 발행됐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국내에서 비대면 컨퍼런스콜 형식으로 진행된 투자자 설명회에는 50여개 해외투자기관이 참여했고, 윤태식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은 같은 기간 중 OECD 각료이사회 참석을 계기로 파리 현지에서 유럽 주요 자산운용사를 직접 만나 설명하기도 했다. 최종 유효주문은 달러채권이 발행액의 4배, 유로채권은 6배였다. 우리나라의 해외 자금조달 비용을 감축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외평채 금리는 우리나라 민간부문이 발행하는 외화채권의 벤치마크(준거금리) 역할을 하므로, 향후 국내기업·금융기관의 해외채권 발행금리도 함께 하락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