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환자 치료 환경 개선의 핵심 과제는 무엇인가요 고령층 COPD 유병률과 숨 쉴 권리 보장 방안은 어떤 것이 있나요 신약 급여화가 저소득층 COPD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정책적 개선 방안은 무엇인지 궁금해요 앞으로 COPD 관련 정책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할 수 있나요 
한국디지털뉴스 김형종 기자ㅣ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경기 부천시갑)이 주최하고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주관한 ‘어르신 숨쉴 권리 보장을 위한 COPD 정책 토론회’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90%를 차지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심각성과 치료환경 개선 필요성을 알리고,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사진=서영석 의원실 제공)
서 의원은 인사말에서“초고령사회 진입과 미세먼지 등으로 COPD 유병률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고령층의 숨쉴 권리 보장을 위한 국가적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도 “COPD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치료 지연과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며 조기진단과 체계적 관리, 공공정책의 적극적 개입을 촉구했다.
발제에서는 인천성모병원 최준영 교수와 서울성모병원 이진국 교수가 각각 COPD의 질병부담과 치료환경 개선 필요성을 발표했다. 최 교수는 “COPD는 인지율이 2.3%에 불과하지만, 폐암만큼이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악화시키는 질환”이라며 조기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교수는 “급성악화를 막는 신약이 있지만, 비싼 약가로 인해 저소득층 접근성이 떨어진다”며 신약의 급여화 필요성을 제언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는 대한노인회,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계, 언론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송재찬 대한노인회 사무총장은“조기 발견과 지속적 관리, 급성 악화 시 저소득층 접근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고, 황용일 한림대성심병원 교수는 “20년 전과 비교해 COPD 처방약에 큰 변화가 없다”며 신약의 보험 적용 확대를 촉구했다. 보건복지부와 심평원 관계자들도“신약의 신속한 검토와 건강보험 역할 강화에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좌장을 맡은 유광하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이사장은 “COPD 환자가 중증 악화로 입원하면 3~5년 내 절반이 사망한다”며 “급성악화 예방에 초점을 맞춘 치료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신속하고 효용감 있는 정책 추진으로 COPD 환자들의 치료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토론회를 마무리했다. 이번 토론회는 고령사회에서 COPD 등 만성질환 환자들의 숨쉴 권리 보장과 치료 접근성 제고를 위한 의미 있는 논의의 장이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