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는 긍정적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계층과 이념을 포용하며 상호존중과 배려의 리더십을 통해 선진화를 이뤄야할 사명을 갖고 있다. 차기 정부의 지향성은 선진화를 위한 실용주의여야 하며, 이의 성패는 존중과 배려의 정치사회문화가 결정하게 될것이다.

노동일 경북대 총장
노동일 경북대 총장은 19일 오후 2시 서울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 ‘국민통합을 위한 행동화 포럼’에서 제1주제 발표자로 나서 ‘존중과 배려의 정치사회문화와 선진화’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노동일 경북대 총장은 국민통합을 저해해 온 갈등은 크게 동서간 지역주의, 수도권과 지방간 갈등, 계층 갈등으로 볼 수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내놓았다.
우선 동서간 지역주의는 지역주의를 재생산하는 여야 정당 정치인들이 각자의 이념과 정책을 기초로 하여 전국 정당을 진정성있게 건설하려 할 때 극복할 수 있으며, 새 정부와 집권당 역시 특정 지역이 아닌 대한민국 전체의 관점에서 공당으로서의 이념과 가치를 상징하고 대변할 수 있는 전국화를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앞선 정부들의 시행착오를 극복하는 것은 물론 지방의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해 중앙정부의 간섭을 지양하고 ‘자율과 합의, 책임의 거버넌스’가 작동할 수 있도록 그 기틀을 법제도적으로 정착시켜야 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계층간의 양극화를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계층간의 차이에 대한 합리적 조정을 수행하고 실용적 대안을 생산할 수 있는 유연하고 효율적인 정부의 역할을강조했다.
이를 위해 노동일 경북대 총장은 시장경제의 원칙은 존중되어야 하며, 이는 조건의 형평성 확보, 공정한 게임의 법칙 확립, 합리적 결과에 대한 승복의 과정이 정착됨으로써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민통합을 위한 행동화 포럼(사회갈등 해소방안 모색을 위한 실천과제 정립을 중심으로)’은 국민통합 행동화 포럼 준비위원회 주최한 이 날 행사는 1천여 명이 참가하여 성황을 이뤘다.
발제자로는 노동일 경북대 총장을 비롯 유세준 전 인천대 부총장, 정재훈 전 인하대경영대학원장이 나서, ‘사회갈등해소 방안과 국민화합을 위한 행동화 과제’와 ‘국민의견수렴 과정을 통한 정책실행의 성공화 전략’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포럼은 이명박 정부의 당면과제인 사회갈등 해소 중 동서간, 계층간 갈등해소를 위한 행동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실천과제를 정립하여 국민화합을 위한 선도적 구심역할을 담당하고자 개최했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