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박상덕)은 8일 지방 기록물을 발굴·수집·보존하고 기록정보 활용기반 조성 및 일자리 창출, 기록관리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내고장 역사찾기」사업을 추진한다.
지방에는 다양한 기록정보로 활용 가능한 많은 기록물이 산재하고 있으나, 도사(都史), 군지(郡誌) 등을 발간하기 위한 원본기록 자체의 체계적인 소재정보 파악 및 보존관리가 미비해 기록수집 및 관리를 위한 인력배치 등 지자체의 자구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근대이후 정부 및 준정부기관 관련 기록물, 주요행사, 사업, 건축물 연혁 등에 관한 기록물 등은 체계적으로 수집, 보존, 활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번 「내고장 역사찾기」사업은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해당 지역에 산재하는 기록물의 발굴 수집을 통해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확립하고, 기록관리 문화 확산 및 지역 일자리 창출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내고장 역사찾기」사업에는 16개 시·도, 각 시·군·구별 자체 기록관이 적극 동참할 예정이며, 사업 추진 인력은 지역의 향토연구자 또는 고학력 미취업자 등으로 구성된다. 발굴수집 대상은 전근대부터 현대까지 생산된 문서류, 시청각류, 박물류, 도서류, 신문류 등 모든 유형을 포괄하며, 각 지자체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수집하도록 장려한다. 예) 근대이후 역대군수, 면장출신 개인사가 기록물, 6·25 또는 월남전 참전군인 기록, 새마을운동 등 지역사회 발전상 관련 기록물 이다.
수집기록물의 정리는 지자체별로 구축중인 기록관리시스템을 활용하거나, 수집한 기록물의 목록작성 및 DB구축을 위한 표준 목록관리 S/W를 국가기록원에서 개발·배포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예) 경기도 파주시는 지방사료수집을 위한 사료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지방기록물 발굴수집 및 관리를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수집기록물은 디지털화 한 뒤 지자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서비스하고 차후 국가기록원에서 전체를 종합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국가적 보존가치가 높은 기록물은 법률에 따라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하여 특별 보호한다.
국가기록원은 이번 사업 추진으로 지방에 소재한 다양한 기록정보의 발굴과 활용 및 적극적 기록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약 100개 지자체별로 이번 사업을 추진할 경우, 자문단 및 작업인력 등 연인원 24만여 명이 동원돼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