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비빈(妃嬪)의 대례복(大禮服)인 원삼(圓衫)은 앞이 짧고 뒤가 길며 소매는 크고 둥글다. 깃은 옷색과 동일한 색이며 색동소매 끝에 흰색 한삼이 달려 있고, 원삼(圓衫)을 입은 위에는 다홍색 큰띠를 띠었다.
왕비의 대례복(大禮服)인 황원삼(黃圓衫)은 다홍색과 남색을 쓴 2가지 색끝동에 흰 한삼을 달았고, 비빈(妃嬪)의 대례복(大禮服)이었던 홍원삼(紅圓衫)은 자적색(紫赤色) 혹은 다홍색 길에 노랑색·남색 2색의 색동 끝에 흰 한삼을 달았다.
공주와 옹주의 대례복(大禮服)이었던 초록원삼은 연두색 길에 다홍과 노랑 2색의 색동 끝에 흰 한삼을 달았고 가슴에는 봉(鳳) 흉배를 달았다. 큰띠에는 금박문양을 넣었는데 황원삼(黃圓衫)에는 용문(龍紋)을, 홍원삼(紅圓衫)에는 봉문(鳳紋)을, 초록원삼에는 화문(花紋)을 넣었다.
곡선미를 강조한 당의(唐衣)는 비(妃), 빈(嬪), 상궁이 입었는데 저고리 위에 덧입었는데 색에 따라 연두·자주·남색·백색 당의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연두당의를 많이 입었고 계절에 따라서 겹당의·홑당의가 있으며, 홑당의는 당적삼·당한삼이라고도 한다. 겨울에는 주로 겹당의, 여름에는 홑당의를 입었다.
당의(唐衣)는 앞뒤 길이가 저고리 길이의 약 3배이며 겨드랑이 아래부터 양옆이 트이고, 아랫도련이 아름다운 곡선을 이룬다. 연두색 비단 바탕에 홍색안을 넣으며 고름은 자주색으로 왼쪽 코깃에 2장을 겹쳐 달고 오른쪽에 짧은 고름을 1장 단다. 소매 끝에는 창호지로 속을 넣은 흰색 거들지(한삼)가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