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오후 6시 8분 14초에 서울 부근에서 규모 3.0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이 발생한 위치는 경기도 시흥시 북쪽 8km 지점(37.45°N, 126.80°E)으로, 서울 부근과 수도권 대부분의 지역에서 진동이 2~3초 동안 지속되어 건물이 흔들리기도 하였으며, 대부분의 사람이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지진은 국내에서 2010년 들어 7번째로 발생한 지진이며,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유감지진이 발생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아울러, 2009년에는 국내에서 총 60회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으며,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8회, 유감지진은 총 10회 발생했다.
1978년 지진 계기관측 이후 이번 지진은 수도권 일대에서 발생한 3번째 지진으로 규모는 가장 컸다. 지난 1990년 6월 14일 03시 37분에 서울 동부지역에서 규모 2.3의 지진, 2004년 9월 15일 07시 47분에 광명시 북동쪽 약 5km 지점에서 규모 2.5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으며, 3건 모두 사람이 진동을 느낀 유감지진으로 기록됐다.
규모 3.0 지진은 진앙 부근의 대부분의 사람이 느낄 수 있고, 매달린 물체가 약간 흔들리는 정도이다. 이번 지진은 규모가 3.0이지만 지진이 지하 약 10km의 얕은 층에서 발생했고,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 인구밀집 지역에서 발생해 많은 사람이 진동을 느낄 수 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발생에 대한 원인분석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한반도 활성단층 분석 등 연구개발을 통한 지진업무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지진 통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기 위한 지진조기경보 체제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기상청에서 관측된 지진발생 현황을 보면 최근 10년간 한반도에서 연평균 43회가 발생하고, 특히 2009년에는 국내에서 총 60회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8회, 유감지진은 총 10회였다.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우리나라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조선시대의 예를 들면 1692년 11월 2일 이경(밤 9시-11시)에 서울지역에서 크게 지진에 발생하여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등 전국에서 지진을 감지하였다고 한다. 소리는 천둥치는 것 같았고, 심한 곳에서는 집이 흔들리고 창문이 저절로 열렸으며, 산천초목이 진동하지 않는 것이 없어 새와 짐승들이 놀라서 흩어지고 도망하여 숨기까지 했다고 한다(출처 조선왕조실록)
한편, 기상청은 240년만에 발생한 아이티 대지진을 계기로 지진학계, 심리학계, 방재기관, 단체, 산업계, NGO 등의 관계자를 초청하여 지진조기경보체계, 대규모 기반시설 지진대비 및 지진산업 전망, 지진 피해에 따른 국민들의 심리적 위기 등을 논의하기 위해 ‘한반도 지진대응 포럼(오는 25일, 서울 대방동 공군회관)’에서 이번에 발생한 지진의 원인 분석 등을 지진관련 학계와 함께 토의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