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위원장은 10월24일 위원장직 취임 시부터 김근태 열린당 의장의 개성춤판’에 대해 인간적 실수”잠깐 실수한 것”그럴 수 있는 일”등으로 감싸주며 문제 삼지 말아야 한다”는 너그러움 을 보여줬다.
그러나 金正日과 左派정권에 맞서 앞장서 싸워 온 김용갑 의원에 대해서는 광주 6·15민족통일대축전행사’를 해방구”에 비유한 발언과 10·26재보선 不公正공천에 항의해 무소속후보자를 지원한 문제 등을 문제 삼으며 집요한 공세를 펼쳐왔다.
급기야 印위원장은 11월20일 CBS라디오에 출연, 당내 윤리위원회에서 김용갑 의원에 대한 징계를 개시하기로 결정했고, 이제 징계수위를 논의하고 있다”며 한나라당이 金의원을 징계하기로 했다는 요지로 발언했다.
그러나 25일 조갑제닷컴 등 언론보도에 따르면, 한나라당 윤리위는 金의원에 대한 징계를 결정한 바 없으며, 印위원장이 한나라당 당규 상의 “비밀엄수의무”를 어겨가며 언론에 사견(私見)을 흘린 것으로 확인됐다.
한나라당은 左派정권 종식에 대한 국민적 여망을 안고 있다. 印위원장 역시 이 같은 바람을 이루기 위한 당내 윤리 정화라는 사명을 띠고 있다.
그러나 막상 印위원장은 “비밀엄수의무”를 어겨가면서까지, 있지도 않은 징계사실을 있는 것처럼 언론에 퍼뜨려왔다.
문제는 이 같은 비윤리적 언동을 써가며 공격한 대상이 한나라당 안의 金正日과 햇볕정책을 비호하는 左派의원이 아니라 이에 맞서 처절하게 싸워 온 애국의원이라는 데 있다.
한나라당 윤리위 당규 제20조는 첫 번째에서 “당 이념에 위반된 행위가 있거나 당 발전에 극히 유해한 행위를 한 데 대해 징계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있지도 않은 징계사실을 있는 것처럼 언론에 퍼뜨리면서, 비밀엄수의무를 어긴 채 애국의원을 공격하는 印위원장의 행태야말로 첫 번째 징계대상이 아닌가?
印위원장은 본래 左派정권 종식의 대의명분과 맞지 않는 인물이었다. 그는 盧정권 들어서도 노무현탄핵반대, 이라크파병반대 등에 앞장서왔다.
탄핵 시에는 노무현의 反헌법·反국가적 언동엔 침묵한 채 여야정치인이 탄핵정국으로 몰고 갔다고 비난했다. 그가 이끄는 기독교환경운동연대라는 단체는 국회의 탄핵안 가결을 “수구세력 한나라당에 의한 쿠테타”로 비난하며 “국회해산”을 촉구했다.
미국이 이라크戰을 벌이자 굴복은 더 많은 굴종을 가져올 뿐”한반도 평화는 미국의 오만한 자세를 꺾는 데서부터 시작될 것”충실한 신자유주의 이행으로 영원한 불행의 씨앗이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중도를 가장한 채 결정적 순간에는 애국세력에게 등을 돌려온 것이 그의 최근 행적이다.
한나라당도 각성해야 한다. 대한민국을 반역세력으로부터 지켜내고 북한동포를 해방하기 원하는 절대다수 국민들이 한나라당에게 바라는 것은 좌파정권 종식이다. 그런데 한나라당은 사술(詐術)을 동원하며 애국(愛國)을 훼방하는 인물에게 윤리위원장이라는 중책을 맡겨버렸다. 그 저의가 무엇인가? 세간에 들리는 소문처럼 한나라당도 좌파의 숙주가 되고 있는 것인가?
인명진위원장에게 촉구한다. 印위원장은 이번 파문에 대해 공개사과하고 위원장직을 즉각 사퇴하라. 그것이 좌파정권 종식을 바라는 국민들의 여망에 부응하는 것임을 명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