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한국도로공사 서울요금소 확장계획 수요예측 실패 하이패스 센터로 대채
토지매입비만 403억원, 건립비 10여억원
한국도로공사가 당초 서울톨게이트의 상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토지매입에 403억원을 투입했으나 정작 서울톨게이트 확장계획을 취소하고 하이패스 홍보를 위한 센터를 건립하기로해 센터 건축비 10억원을 포함해 413여원에 달하는 예산이 낭비될 상황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국토해양위회 소속 강기갑 의원에 따르면 7일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당초 서울톨게이트의 기존 32개 차로를 42개 차로로 확장하기위해 403억원을 부지매입비로 사용했으나 ‘버스전용차로 전일제 도입’과 하이패스 이용고객 증가’등의 이유로 확장계획을 변경하면서 하이패스 홍보를 위한 센터를 건립했다.
도로공사가 건립한 하이패스 센터는 403여억원을 들여 매입한 41,708㎡의 부지중 330㎡에 불과하고 주차장 및 진 출입도로(27,738㎡), 녹지대 (13,490㎡)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하이패스 센터가 정말 필요하냐이다. 하이패스 센터가 들어선 위치는 양방향으로 불과 13.3km, 14.4km 떨어진 지점에 서울만남의 광장 휴게소’와 기흥휴게소’가 있어 홍보관이 필요했다면 충분히 양 휴게소를 사용할 수 있었다. 더불어 센터 자체도 사실상 주차장이 대부분이어서 역할이 불분명한 하이패스 센터를 413여억원이나 들여 건립할 필요가 없다.
도로공사는 이와 관련하여 휴게소는 협소하고 하이패스 고객이 증가하면서 각종 민원이 증가해 하이패스 센터는 필요한 시설’이라고 말하며 당초 사업계획이 900억이 넘었었는데 413억으로 줄였으니 오히려 예산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도로공사는 하이패스 센터를 이용한 고객이 얼마인지 파악도 제대로 하고 않고 있는등 운영관리도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기갑 의원은 “해당 예산은 <경부선 양재-기흥간 확장공사>의 국고예산이므로 확장공사 계획이 불필요하게 되었다면 국고로 반납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이를 도로공사가 효용성에 문제가 있는 사업에 사용한 것은 정부예산을 공사가 임의대로 사용한 전형적인 예산낭비 사례”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