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빨리 협상해서 결과 만들어내는 정치해야
정치복귀를 선언한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12일 여야의 정치력 부재로 국회에서 표류하고 있는 정부조직법에 대해 결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며 조속한 처리를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파인더]이 과정에서 안 전 교수는 법 시행 후 문제가 발생하면 차후에 재개정을 해도 된다'고 언급, 선 시행 후 언론장악시 개정'이라는 청와대 입장에 힘을 실은 것이어서 주목을 끌고 있다.
안 전 교수는 이날 오전 서울 동작동 현충원을 참배한 뒤 "(정부조직법을) 이렇게 오래 끄는 것은 누구한테도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다"며 "제발 좀 빨리 협상을 해서 결과를 만들어내는 정치를 모든 국민들이 바라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어느 한 쪽 입장이 꼭 100% 옳다는 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며 "양쪽에서 어느 정도 창의적인 해결방법들을 대승적인 차원에서 정치력을 발휘해 만들어내는 게 중요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특히 "우선 대승적으로 한 쪽 안을 받아들이고, 대신 1년 뒤에 다시 우려했었던 점들이 실제로 일어나는지를 확인해서, 그 때 만약 우려했던 점이 현실이 되면 거기에 대해선 다시 재개정하는 약속을 하는 조건부협상 같은 것들이 가능하지 않을까싶다"고 밝혔다.
이 같은 안 교수의 언급은 청와대가 밝힌 기존 입장과 유사한 것이어서 주목을 끌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5일 우선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처리, 시행한 뒤 추후 문제가 발견되면 법개정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야당이 언론장악 이야기를 하는데 보도 관련 모든 매체는 처음부터 방송통신위원회에 남겨뒀다"면서 언론장악 의도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그럼에도 앞으로 이런 (언론장악) 의혹을 살 수 있는 상황이나 문제가 발생하면 언제든지 문제 제기가 가능하고, 또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1-2년을 지켜보고 법을 개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