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태 회장 MBN 뉴스와이드 방송에서 “대화록 논란 야기된 본질은 노 전 대통령의 굴욕적 저자세 때문” NLL 대화록 관련 패널들과 열띤 토론
정치평론가 양영태 자유언론인협회장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둘러싼 의혹과 논란에 대해 종편 방송에 잇달아 출연해 “본질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로 이해되는 메시지와 굴욕적 저자세”라며 사초공방을 둘러싼 논란의 맥을 짚었다.
양 회장은 지난 5일 MBN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먼저 검찰 발표를 통해 원본 논란이 일고 있는 점에 대해 언급했다. 양 회장은 “참여정부 문서관리 시스템이 ‘봉하 이지원’으로 갔고, 그 안에서 삭제된 부분이 복구가 됐는데 바로 그게 원본이라는 게 핵심”이라며 “원본·사본·정본이라는 말들은 다 말장난에 불과하고 삭제된 그것만이 바로 ‘사초’”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초는 통치권자의 정치행태 등 최초 모습을 기록으로 남긴 후 결재 받은 그 상태이지 올린 것을 다시 수정하고 손을 댄 것은 사초로 볼 수 없다”며 “그런데 이 사초에 손을 댄 사람은 의심의 여지없이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차원에서 우리가 접근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MBN 뉴스와이드 방송 화면 캡처
양 회장은 사초에 대해 “문장이 안 되는 것도 있고, 또 사관이 기록하다보면 빨리 기록하다 오타도 내기 때문에 그것이 틀릴 수도 있고 얘기를 듣다 보면 사실관계와 다를 수도 있다”며 사초 개념을 달리한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양 회장은 “사초폐기 문제에 대해 마치 사초가 별 것 아니라고 얘기를 하는데 잘못됐다”면서 “폐기된 문서가 바로 국가기록원으로 갔어야 할 사초 원본이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바로 그 기록에 중대한 NLL 문제, 소위 NLL 포기선언, 또 적장과 만나 비굴한 굴종적 자세를 취한 모습의 내용성이 담겨 있기 때문에 바로 이 사초폐기라는 것을 우리가 중요한 의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화록 검찰 중간수사 발표가 국면전환용? 그 용어는 정치적 선동용어”
양 회장은 검찰의 중간수사 발표가 여권의 국면전환용이라는 주장도 일축했다.
그는 “국가안보, 체제수호 측면에서 대통령이 적장, 국가적 원수와 만나 소위 영토선 대화를 나누면서 양보·포기하는 듯한 메시지를 던지고 굴욕적 저자세를 취한 게 핵심적 사안이다. 이 문제말고 더 중요한 사안이 어디 있나”라며 “채동욱 사건도 국면전환용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런 용어사용은 정치적 선동용어”라고 비판했다.
이어 “야당이 불리하면 항상 국면전환용이라고 하는데 국가안보에서 가장 중요한 태제를 다루고 있는 상황에서 맞지 않는 말”이라며 “설령 만약 국면전환용이라고 해도 그렇다면 야당은 왜 여기에 응수해 국면을 전환시키지 못하느냐”고 반문했다. 야당이 국면전환용이라고 주장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가장 핵심적 이슈이기 때문에 국면전환용이란 주장이 대국민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양 회장은 삭제된 초본과 국정원본의 차이가 없다는 주장에도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양 회장은 “검찰에서 말한 의미 있는 차이라는 것은 뭘 의미하는 건가”라면서 “그 의미는 바로 NLL (포기)와 저자세 문제”라고 재차 강조했다.
양 회장은 고 교수가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김장수 외교안보 실장이 소신대로 하라는 노 전 대통령 지시대로 NLL지켰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NLL 대화는 김정일과 노무현 전 대통령 두 사람이 한 것이고, 그게 문제가 된 것이지 김장수 전 장관에 ‘소신껏 해라’가 도대체 정상회담과 무슨 상관이냐”고 일축했다.

열띤 토론 중인 양영태 회장 모습
대화록 삭제와 관련해 참여정부 인사들의 수사 문제에 있어서 양 회장은 검찰의 철저한 수사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회장은 “경호요원, 통신요원 등을 제외한 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한 인사들 모두를 다 소환해야 한다”며 “여기엔 김장수 안보실장도 참고인 조사를 받아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사초 관련 라인 인사들 전원, 예를 들어 행정부와 청와대 비서관들 관련 라인도 통합적으로 모두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회의록 삭제, 원본 수정 논란 등 ‘사초실종’ 파문의 최종 책임이 결국 노 전 대통령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그는 “근원적 책임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있는 것이 아닌가”라며 “문재인 의원은 당시 정상회담 준비위원장으로서, 또 참여정부 마지막 비서실장이었고, 대선 후보였다. 도의적으로라도 큰 책임을 져야 한다. 결국 노 전 대통령과 문 의원이 최종 책임자”라고 지적했다.
“부패 이미지 서청원 공천 새누리당에 도움 안 돼”
이어서 양 회장은 각종 현안에 대해서도 평가를 이어갔다. 먼저 각종 공세에도 불구하고 지지율 부진을 겪는 민주당에 대해 그 원인을 “민주당이 모든 사건마다 정략적 행태를 되풀이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양 회장은 “지지율이 새누리당의 반토막도 안 되는 처지가 된 데에 민주당이 성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서청원 전 대표의 공천과 관련해 “부패 이미지의 서청원씨가 다시 컴백하는 것은 새누리당에 상당한 어려움을 줄 것”이라며 “깨끗한 원로의 복귀는 순기능이 있지만 서 전 대표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이런 이미지를 가지고 출마해 새누리당에 과연 얼마나 도움이 될 지는 상당한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공천과정에 대해서도 “새누리당 최고위원회가 조용히 모여 처리한 모양이던데, 그런 유형의 정치는 소위 말해 새로운 정치 또 참신함을 추구하는 부분과는 거리가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양영태 회장은 6일에는 MBN 뉴스와이드, 7일엔 채널A 시사특급에 각각 출연해 특유의 치밀한 논리를 앞세워 대화록 논란과 기타 현안 이슈와 관련해 함께 출연한 패널들과 열띤 토론을 벌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