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연간 GDP와 맞먹어.. 美 전문가 ‘포린 어페어스’에 기고
북한 급변 사태 시에 한국이 필요한 자금이 1조 달러(약 1050조 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한국의 1년치 연간 GDP(국내총생산)에 해당하는 비용이다
미국의 한반도 경제 전문가인 마커스 놀랜드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연구원은 외교전문지 ‘포린 어페어스’ 2014년 1·2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모든 국가가 정치적 위험을 안고 있지만 한국만이 갖고 있는 특수한 점은 38선 너머에 북한을 안고 있다는 사실”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놀랜드 연구원은 “한국경제에 있어서 북한 문제는 가장 깨기 어려운 부분(the hardest part of breaking up)”이라고 밝혔다.
놀랜드 연구원은 “북한이 설사 전쟁을 일으키거나 붕괴되지 않더라도 체제 불안정을 야기하거나, 2500만 명에 달하는 북한 주민을 흡수하는 일은 실질적인 위험요인”이다.
놀랜드 연구원은 또 “한국 정부의 노력에도 북한 체제 전환이 순조롭게 되리라는 보장이 없으며, 급변사태시, 중·북 접경지대를 통해 탈북한 주민이 한국으로 오게 될 것이란 지적이다.
때문에 이런 사태를 막으려면 북한 경제가 급속히 와해되지 않도록 지탱해 북한 주민이 탈출 필요성을 덜 느끼게 만들어야 하고 대규모 한국 자금의 북한 유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놀랜드 연구원은 “이런 활동을 위해서 필요한 돈이 약 1조달러라고 분석했다.(kon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