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지킴이’ 역할 톡톡히 해낸 홍문종 상종가
[뉴스파인더] 일반 1인 1표 선거와는 달리 7월 14일 치러지는 새누리당 전당대회는 1인 2표제로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게 된다. 이같은 전당대회 룰 때문에 예상 밖의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현재 친박-비박으로 나눠진 구도에서는 변수도 종종 나올수 있다.
정치분석가들에 따르면, 대세론을 내세운 비박계 김무성 후보의 경우 친박계 후보를 파트너로 영입하면서 친박표를 일부 가져오게 되면 굳히기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친박 좌장의 이미지를 내세운 서청원 후보의 경우에는 본인을 제외하고 가장 유력한 친박 후보를 영입하면 누수현상 없이 당내 친박표를 모두 끌어안을 수 있기 때문에 유력한 당권후보가 될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박근혜지킴이’ 역할 톡톡히 해낸 홍문종 상종가
이에 따라 친박 비박계의 모든 진영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인물이 바로 홍문종 후보이다. 홍 후보는 당 사무총장과 경기도당위원장을 무난히 관리했고 기자들과의 스킨십도 나쁘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나아가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중진차출론을 내세워 수도권과 부산 제주 등 주요 지역에 단체장을 만들어내면서 ‘박근혜지킴이’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가 있었다.
홍 후보의 경우 서청원 김무성 후보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편이나, 두 후보가 안고 있는 ‘구태’ 이미지를 씻어낼 수 있는 인물로 평가된다. 더욱이 홍 후보의 경우 경기도표를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충청권 이미지가 강한 서청원 후보, 부산에 바탕을 둔 김무성 후보 모두 홍 후보를 탐낼 수밖에 없다.
한편, 이인제 후보의 경우 서청원 후보와 지역이 겹치고, 김무성 후보와는 같은 비박계로 분류되기 때문에 서청원 김무성 후보들의 런닝메이트로는 부담스럽다. 따라서 비박계로 독자노선을 지키며 박근혜정부에 견제역할을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