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정된 비정규직법안으로 촉발된 이랜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은 비정규직 파업의 책임이 노동부에 있다는 의견을 가장 많이 나타냈다. CBS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비정규직 파업의 가장 큰 책임은 노동부에 있다는 의견이 31.9%로 가장 많았고, 사업주(24.4%)와 노조(23.2%)라는 응답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지정당에 따라 비정규직 파업의 책임원인에 대한 의견은 다소 차이를 보여, 한나라당(38.9%)과 통합민주당 지지자들(36.0%)은 노동부의 책임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열린우리당(30.3%)은 노조에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민주노동당은 90.5%의 압도적인 비율로 사업주에 책임을 돌렸다.
지역별로는 서울(55.1%) 지역 유권자들이 노동부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는 의견을 가장 높게 나타냈고, 대전/충청(41.4%), 전북(34.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남/광주(35.4%), 대구/경북(32.9%), 부산/경남(29.1%) 및 인천/경기(27.1%) 응답자는 사업주의 책임이 크다는 의견을 가장 많이 나타냈다.
남녀 모두 파업의 책임이 노동부에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나(남 31.4%, 여 32.4%), 남성은 노조(29.3%), 사업주(23.1%) 순으로 답한 반면, 여성들은 사업주에 좀 더 많은 책임을 물었다(사업주 25.6%> 노조 17.3%).
연령별로는 30대(43.3%)가 노동부에 책임이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20대(39.1%), 50대 이상(26.6%)순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40대는 사업주라는 응답이 3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조사는 7월 11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4.4%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