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표최고위원은 24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중 FTA 타결 이후 농정혁신 방안 모색 토론회’에 참석해 한·중 FTA에서 피해가 예상되는 일부 분야에 대해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안덕수·김광림·황진하·서상기·박맹우·이종배·최봉홍·이만우·배덕광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다.
김 위원은 또 중국 고소득층이 우리 농축수산물을 선호하고 있는 만큼 이번 협상이 중국시장을 공략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정성일 상근부대변인은 전했다.
안덕수 의원은 한·중 FTA 타결 이후 농정혁신 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는데 아주 시의적절한 토론회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협상은 양국의 민감한 품목을 감안한 낮은 수준의 FTA라고는 하지만 피해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한·중 FTA가 농업분야에 주는 의미는 매우 커 농민들의 걱정이 많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협상에서 우리나라 정부가 농업 초강대국인 중국과의 FTA 협상을 하면서 농수축산식품분야를 최대한 초민감 품목에 반영하여 양허 제외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협상 결과에도 많이 반영된 점은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김 의원은 이번 협상으로 인해 일부 농수축산식품분야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 또한 이번 한·중 FTA의 국내 보완을 마련하면서 단순한 피해 보상이 아닌 우리 농업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있도록 당 차원에서도 전반적인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다만 우리 농업도 한·중 FTA를 계기로 이제 수세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실제 원전으로 인해 일본 농수축산물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고, 중국의 고소득층은 우리 농수축산물을 선호하고 있는 만큼 중국 시장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공략한다면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