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후쿠시마 방사능오염수 해양유출 해결 촉구해야”
식품약품안전처 등 정부가 구성한 “전문가위원회”의 의뢰로 2014년 10월 전국 1045명 대상 조사
10명 7명은 “현재보다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장하나의원은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일본 식품 방사능안전관리 민간전문가위원회”의 의뢰에 의하여 “한국소비자연맹”이 실시한 “식품중 방사능에 대한 국민인식도 조사결과”를 제출받았다. (이 조사는 2014년 10월부터 11월까지 전국 1045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일본식품 방사능안전관리 민간전문가위원회”는 정부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조치를 재검토하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현재 2차례 일본 현지조사를 마치고 조사보고서 작성중에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규제에 우리 국민의 85.9%는 “일본과의 무역마찰을 감수하더라도 현 수준과 같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규제를 지속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규제를 지속해야 된다면 그 방법으로는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문제가 해소될때까지 일본산 식품 수입을 전면 금지해야 된다.”라고 응답한 수가 42.7%이며 “적어도 특정 지역(현) 산물 또는 특정 품목(예 : 수산물)에 대해서는 당분간 무조건 금지해야한다.”가 40.7%여서 “전면금지거나 일부 품목 전면금지의 의견이 83.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산 수산물 방사능안전관리를 위해서는 현재보다 “보다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응답이 10명 중 7명 수준인 69.6%였다.
우리나라보다 더 엄격한 안전기준을 적용하는 국가와 똑같은 수준”이 38.3%이고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31.3%였다.
또한 소비자의 75.1%가 식품의 유해인자로 “방사능오염식품”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그 다음이 중금속(53.7%), 잔류농약(36.0%)순이다.
또한 동거인에 따른 불검출 수준의 수산물 구입여부를 보면 나이가 어린 자녀와 함께 하는 동거 가족일수록 “구입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아 자녀의 건강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어린이 동거인 86.3%, 초등학생 동거인 70.9%, 중학생 동거인 76.6%인 반면 고등학생 동거인이거나 65세 이상 동거인 및 동거인이 없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수의 비율인 70.1%보다 낮은 63.8%, 69.6%)이다.
조사대상자들에게 세슘-137이 생선기준치 100베크렐/kg보다 낮은 10베크렐이 검출되었을때의 소비자 태도는 “기준치 이하더라도 인체에 위해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구입하지 않는다.”가 38.2%, “10베크렐이 아니라 1베크렐도 방사능은 싫어 구입하지 않는다.”가 33.1%로 나타났다.
식품 관련 방사능관리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 신뢰수준은 13.3%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정부가 우리에게주는 방사능 정보에 대한 신뢰정도는 65.6%가 “신뢰하지 않는다.”인 반면 우리나라 정부의 방사능 정보에 대해서는 42.6%가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으로 일본 정부에 대한 신뢰보다는 다소 높은 편이나 “매우 신뢰한다.”는 고작 1.1%이고 “다소 신뢰”도 12.2%에 불과했다.
장 의원은 “우리나라는 일본의 최인접국가로서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오염수 해양유출, 대기중 방사성물질 방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일본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을 걱정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정부는 국민의 우려를 반영하여 섣불리 수입재개를 추진하기 보다는 일본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해양유출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고 방사능 관련 정보공개가 강화되도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