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아베 총리 왜곡된 역사관 비판, 동북아 국제관계 제언
한국디지털뉴스 김형근 기자 = 김형오 전 국회의장(부산대 석좌교수)이 미국의 두 명문 대학 초청(모든 여비?경비는 초청자 측 부담)으로 특별 강연을 하기 위해 출국했다. 스탠포드 대학은 오는 6일 낮 12시(현지 시각), 하버드 대학은 8일 오후 4시로 일정이 잡혀 있다.

김형오 전 의장은 직선제 이후 한국 정치와 대통령제의 현황 및 문제점 그리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또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와 연계해 한반도 통일 문제와 대북 및 북핵 문제를 짚어보고, 미국?중국?일본과 맞물린 국제 역학 관계 속에서 한국의 역할 등을 모색해볼 생각이다. 미국의 세계적인 명문대 두 곳이 같은 인물을 초청해 같은 주제로 강연회를 갖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하버드대 ; “2017년,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한국 정치와 동북아’-
스탠포드대 ; “한국 정치와 차기 대통령 선거”
아베가 방문한 두 대학에서 ‘사죄하지 않는 가해자’ 일본 비판
하버드(케네디스쿨)와 스탠포드(아시아태평양연구소)는 아베 일본 총리가 지난 4월 말에 다녀간 곳. 김 전 의장은 공교롭게도 바로 그 장소에서 강연을 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의 전직 입법부 수장이 그와 관련해 어떤 발언을 할지 현지에서도 관심이 높다고 한다.
김형오 전 의장은 강연과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방미 기간 중 식민 지배 및 위안부 문제에 대해 반성과 사과가 없었던 아베 총리의 왜곡된 역사관을 비판할 생각이다. 김 전 의장은 “일본 지도부의 정직하지 못한 태도가 한국인들에게 고통과 반감을 주고 있다”면서, “특히 어린 소녀들을 그들의 전쟁 막사로 끌고 가 성적 학대를 하고도 사죄를 하지 않아 일본이 역사의 가해자란 사실을 진심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의구심을 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애초부터 의도한 건 아니지만 타이밍이 절묘해 ‘반박 아닌 반박’이 된 모양새다. 특히 하버드 대학의 경우는 아베 총리 방문 때와는 달리 강연 후 바로 질문답변 시간(60분)이 마련돼 있어 한국 정치와 동북아 상황에 대해 세계 지성들과 진지하고 흥미로운 토론이 예상된다. 국내 정치와 관련해서는 201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과 자질 등을 언급해 차기 대선의 조기 촉매제 역할을 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