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기상청, 원전사고시 방사성물질 확산 예측 못한다
한국디지털뉴스 김형근 기자 = 장하나 의원(새정치민주연합, 환경노동위원회)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서 14일 기상청은 국내 원전사고시 방사성물질 확산 예측 능력이 없음을 시인하였다. 방사성물질 확산 예측 능력을 갖추기 위해 수행한 연구사업을 원자력안전위원회 요구에 의하여 돌연 중단한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기상청은 장하나의원이 기상청의 원전사고시 방사능확산 예측 가능성에 대한 질의에 대하여 “기상청은 기류분석만을 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국내 및 인접국가 원전사고 발생시 방사능 유입가능성에 대해서 예측 및 판단을 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이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독일 기상당국이 방사성물질 확산 모델링 결과를 전 세계에 공개해온 것과 비교해봤을 때 우리나라 기상청의 방사능 재난 대응능력이 바닥수준임을 드러낸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당시 방사능확산 예측에 실패한 기상청은 2012년부터 원전사고에 대비하여 방사성물질 확산 예측을 위한 기술개발에 착수하였다. 기상청은 2012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2년에 걸쳐 “동아시아 방사능물질 확산 예측 모델”연구를 <대기환경모델링센터>에 용역을 맡겨 수행했다.
이 연구는 “기존에 기상청과 원자력안전연구원에서 NOAA(미국 해양대기청)에서 개발된 HYSPLIT를 이용하여 기류 분석에 활용하여 방사성 물질의 확산은 추정한 적은 있으나 동아시아의 복잡한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아 그 실용성이 제한되기 때문에 동아시아 지역에 적합한 예측 모델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어 이루어졌다.
현업화를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동아시아방사능확산 예측 모델개발> 연구는 2015년 돌연 연구가 중단됐다.
기상청 설명에 의하면 오는 15일 개최한 원안위와 기상청의 회의에서 원안위의 요구에 의하여 기상청의 <동아시아 방사성물질 확산 예측 모델 연구>는 중단하게 됐다.
대기확산모델링 연구는 기상청의 고유하고 전문적인 소관업무임에도 불구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기상청 고유업무를 무리하게 제한한 것이다. 기상청은 원안위의 요구를 무책임하게 수용함으로써 원전사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능 확산 예측 기술개발은 현업활용으로 빛을 보지 못하고 무기한 중단됐다.
장하나의원은 “세계 각국의 기상청이 원전사고를 대비하여 방사능확산 모델링 결과를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유독 우리나라 기상청만이 불과 몇 년 전 인접국가 원전사고를 겪었으면서도 방사성물질 확산 모델 기술 개발을 포기하였다. 이는 방사능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책임을 내팽개쳤다.
장 의원은 “기상청은 중단된 방사능확산 모델 연구를 재개하여 원전사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만반의 대비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