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총선 당신의 한 표가 세상을 바꾸는 첩경이라는 사실 명심해야
정친인 욕이나 비난을 하더라도 유권자 자신의 한 표 반드시 행사해야
사진= 정병기 <칼럼니스트>진정한 민주시민은 투표로 주권행사 하는 국민이다. 유권자는 자신의 주권을 투표로 말해야 한다. 그리고 유권자가 바로 서야 정치가 바로 서고 올바른 선거문화가 정착해야 한다. 투표를 포기하면 사표 되지만 선택하면 살아 있는 생활정치력 되는 투표권이 된다. 선거가 임박하면 서 각종 여론조사 난리 법석이지만 실제로는 내일 유권자가 선택 여부에 따라 그 결과도 달라진다. 정치는 생물이라고 하지만 유권자의 생리도 생물이다. 선거 결과의 책임도 절반은 유권자에 있다는 사실 명심하고 책임지는 풍토 정착돼야 하며 부끄러운 줄 정치 계파 정치 패거리 정치를 모두 청산해야 정치가 변화하고 발전한다고 본다. 정치권의 추태가 도를 넘어 위험수위라고 본다.
후보자를 바로 보고 꼼꼼히 살펴 진정으로 지역과 주민을 위한 선량을 뽑아야 한다. 후보자는 상대 경쟁 후보와의 선의 경쟁 정정당당히 치러야 바람직하다고 보며 선거 결과도 절반의 책임이 유권자에도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다. 동일한 선거에서 사고시 발생하는 재.보궐선거 대신 차 순위자가 그 뒤를 이어 나갈 수 있게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천 가능한 매니 패스트 정책 공약 대결이 되고 초심 변치 않는 후보가 돼야 하고 유권자도 제대로 된 자신의 권리행사를 위해 노력하고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번 선거는 정책다운 정책도 없고 공약다운 공약도 없이 치러지는 선거 아닌가 싶다.
이번 장관급 정치인을 선출하는 제21대 총선을 통하여, 여·야 화합을 통한 정치 경제적 안정으로 국민을 편안하게 해야 하고,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오만이나 독선을 버리고 오직 국가 발전과 국민을 위한 대의적인 후보가 되기를 바라는 심정이다. 잘못된 가치관과 야망이 앞선 후보는 마치 지역이 자신의 것인 양, 지역 주민 의사결정권을 무시하는 발언은 자제돼야 하며 자신을 낮추고 섬기려는 겸손한 자세와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며 반드시 실현 가능한 정책적 선거가 되어야 한다. 일여 다야 속 무소속이 선전하는 역대 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진풍경도 보는 것 같다. 그러나 선거 결과는 예측만으로 속단하기 어렵다고 보며 섣부른 속단이나 결과 예측은 잘 맞지 않는다고 본다. 모든 후보가 최선을 다하고 아름다운 모습과 정정당당하고 위풍당당한 선거가 될 수 있게 다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잘못 뽑고 후회 말고 선택하기 전에 관심 가져 지역과 나라 발전에 소중한 한 표 행사해야 세상이 바뀌고 정치가 변한다. 현재의 불합리한 선거법은 현실에 맞게 개정 보완되어야 한다. 이번 총선에서 승복 문화가 정착되는 계기가 마련됐으면 한다. 소신 있는 유권자의 한 표가 나라 발전의 초석이 된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공천으로 후보자와 유권자의 혼란을 막아야 한다. 선거는 정정당당하고 위풍당당하게 치러야 상대가 승복할 수 있고, 차후 부정선거로 당선이 취소되거나 구속되었을 때에는 동선거의 차 순위 자가 그 직무를 바로 맡아할 수 있는 '당선인 차순위 제도'실행 정착되어야 행정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재·보궐 선거를 한다 해도 그 지역에 그 인물이 다시 출마하기 때문이다. 시간과 예산을 절약하고 행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국회의원은 국민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생활정치꾼이 돼야 한다. 말보다 실천을 중시하는 지도자가 돼야 하며 유권자도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의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야 할 것이다. 이제는 이런 새로운 현실에 맞는 선거법 개정을 신중히 검토할 때다. 언제까지 사고 지역에서 재·보궐선거를 치르고 주민에게 그 비용을 고스란히 전가할 것인가!, 지금까지는 그렇게 관행처럼 해 왔지만 이제는 변해야 한다. 지역구 유권자들은 재선에 출마하는 현역후보에 대해서는 더 가혹한 잣대와 판단을 통하여 심판해야 한다고 본다.
선거문화는 예전보다 많아 나아지기는 했지만 일부 지방에서는 아직도 선거 후유증으로 선거 관련 종사자가 목숨을 끊거나 마을 전체 주민이 선거법 위반으로 조사를 받거나 걱정과 한숨으로 날밤을 지새우는 일이 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안타깝고 한편으로는 구태스러운 모습에 지탄을 하기도 한다. 과거 막걸리 고무신 선거가 떠오른다. 부정선거나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자가 당선이 취소되거나 구속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차 순위가 바로 그 직무를 바로 이어 당선자 지위가 되는 ''선거 차순위 당선자 제도''가 그 주장과 논리가 설득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일리가 있고 실현 가능한 것이다. 앞으로 선거에 관심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국민선거경품추첨제”가 적용되어 내수도 살리고 산업연관 효과 얻는 국민축제인 선거는 유권자도 진정한 선거축제 문화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차후 정치권의 심도 있는 논의와 합의 도출을 통하여 사고 치러지는 보궐선거로 인한 비용과 수고를 덜어줘야 할 것이다. 선거 때만 되면 유권자들도 마음이 들뜨고 흥분하기 쉽다. 후보들의 공약이나 정책을 들어 보면 지역이 발전하고 확 변한다고 하는 데 귀가 번쩍이고 마음이 설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후보자의 검증되지 않은 공약이나 선심공세에는 당선만 되면 그만이라는 속셈이 숨어 있기에 현혹되거나 큰 기대를 거는 것은 그만큼 위험지수도 높다. 유권자들은 후보의 공약이나 사람 됨됨이를 꼼꼼히 살피고 진정한 후보자가 누구인지를 알고 선택하려는 소신 있는 유권자가 되어야 한다. 가급적이면 유권자들은 정치권에서 하지 못하는 “국회의원 3진 아웃제”를 적용하여 물갈이를 유ㅜ권자가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제는 한국정치가 유권자 선거에서 변화를 가져와야 하고 국민들은 조용히 실천해야 할 것이다. 선거 결과 중 절반의 책임은 유권자인 나에게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정치발전과 바른 정치 구현을 위해서는 유권자의 깊은 관심과 신중하고 사례가 깊은 판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선거가 코앞에 다가왔는데도 공천 후유증으로 소란스럽고 정치판에 싸움이 국민들이 보기에도 볼썽이 사납다고 본다. 언제까지 국민 위에 군림하는 정치를 이어갈 생각이란 말인가? 국민들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래서야 한국 정치를 바로 세울 수 있는지 정치권에 반문하고 싶다.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사고를 버리는 계기가 되어 정말 국가와 민족 그리고 국민을 무서워할 줄 아는 진정한 정치가 실현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선거 결과에 승복하는 문화도 정착되어 선거 열정의 후유증이 없게 되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