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뉴스 김형종 기자ㅣ김용만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하남시 (을))은 26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 9간담회의실에서“친일반민족행위자 국립묘지 이장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22대 국회에서 발의된 친일반민족행위자 국립묘지 이장을 위한 법(이하 친일파이장법) 통과를 위해 시민사회와 국회, 정부가 함께 실질적 대안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사진=김용만 의원실 제공)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은 국립묘지의 영예성 확립을 위한 시민사회와 국회의 노력을 주제로 발표했고, 이어 장완익 변호사가 국립묘지에 안장된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장의 법적 쟁점, 하상복 목포대 교수가 국립묘지와 애국-프랑스의 역사적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이어 토론회는 이준식 전 독립기념관장이 좌장을 맡고, 김병기 전 광복회 학술원장, 김학규 동작역사문화연구소장, 안수지 국가보훈부 국립묘지정책과 서기관이 친일행위자 이장과 관련해 토론을 이어갔다.
김 의원은 “22대 국회 1호법안으로 친일파 이장법”을 발의했다”면서 “조국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와 자신의 안위를 위해 조국을 버린 친일인사가 함께 안치되어있는, 개탄스런 현실을 조금이라고 바꿔보고 싶다”라면서 친일행위자 이장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친일행위자를 밝혀내고,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는 것이 주권회복의 시작”이라면서 “여전히 우리 민족의 한으로 남아 있는 친일 청산을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위 토론회는 김 의원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백승아, 서왕진, 소병훈, 윤종군, 이용우, 이재강, 이학영, 이훈기, 임호선, 전용기, 조승래, 추미애, 황정아 국회의원이 공동주최하고, 민족문제연구소도 함께 참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