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 11월 대표 발의한 중소기업 탄소중립 촉진에 관한 법률안 후속 조치 나 의원“토론회에서 나온 정책적 제언들을 향후 입법 과정에 적극 반영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ㅣ국민의힘 나경원 (5 선 , 서울 동작을 ) 의원이 12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 11 간담회의실에서 중소기업의 탄소 중립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중소기업 탄소중립 촉진법 제정 토론회를 개최한다 .
나 의원과 국회 의원연구단체 ‘인구와 기후 그리고 공동 주최하는 이번 토론회는 , 나 의원이 지난해 11 월 발의한 중소기업 탄소중립 촉진에 관한 법률안 의 후속 조치로 중소기업 탄소중립 분야에 대한 발전 방안에 대해 민간 전문가들과 부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모색된 자리다 .
중소기업 탄소중립 촉진에 관한 법률안 은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30% 중소기업이 국내외 탄소중립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발적 탄소시장 관리체계 구축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촉진을 위한 진단 및 컨설팅 , 기술개발 , 기술창업 , 금융ㆍ투자 , 대ㆍ중소기업간 협력 등 지원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 지원 , 탄소중립 선도중소기업 발굴ㆍ육성 등을 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NAMU EnR( 자산운용사 ) 김태선 대표이사 , 홍익대학교 경제학부 유종민 부교수, ㈜ 그리너리 ( 기후대응 스타트업 ) 황유식 대표이사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김기만 부연구위원이 발제를 맡을 예정이며 , 산업부 강감찬 산업정책관 , 중기부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 , 환경부 고덕규 기후위기대응단 부단장이 각각 토론자로 나선다 .
나 의원은 “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 ” 이라며 ,“ 중소기업 대부분은 온실가스 감축 규제 적용 대상이 아니지만 , 직접 수출하거나 글로벌 공급망에 편성되어 있어 국내외 탄소중립 규제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 며 법안을 발의한 취지를 설명했다 .
이어 “ 중소기업이 탄소중립 시대를 능동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시장 중심의 ‘ 중소기업 탄소감축 생태계 ’ 구축을 위해 법적 , 제도적 정책적 뒷받침을 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 ” 이라며 “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정책적 제언들을 향후 입법 과정에 적극 반영하겠다 ” 고 밝혔다 .
국회 인구와 기후 그리고 내일은 여야 54 명으로 구성된 의원연구단체로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인구 · 기후 · 과학기술 정책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 연구와 정책적 대안 모색이 연구 목적이다 . 나 의원이 대표의원 , 같은당 임이자 의원이 연구책임의원을 맡고 있다 .
PACT 는 나 의원이 출범한 사단법인이다 .각계 전문가들을 연결해 인구와 기후 , 과학기술 분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 비영리 싱크탱크 '를 표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