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이명박정부는 강제철거 중단하고 사태수습에 나서라
서울 용산구 한강로 재개발예정지에서 강제 철거에 항의하던 철거민들이 경찰의 강제진압 과정에서 다수(경찰발표 5명) 사망했다. 그동안 수많은 재개발이 있었고, 보금자리를 지키려는 서민들의 저항이 있었지만, 이렇게 많은 수의 철거민이 죽었다는 점에서 상황은 심각하다.
유원일의원은 20일 이번 사태는 이명박정부의 폭력성과 반서민적 성격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집권이후 이명박정부는 시민들의 정당한 항의와 서민들의 생존권 요구에 탄압일변도로 대응해왔다. 우리는 촛불시민 강제진압에서, 노동문제 빈민문제 강경대응에서 이명박정부의 폭력성과 야만성을 생생히 봐왔다.
이번 철거민 사망도 이명박정부의 무리한 강경진압이 빚어낸 참사다. 재벌과 특권층만 위할 뿐 서민들의 고통과 생존은 안중에도 없는 정부가 만들어낸 비극인 것이다. 서민들의 주거와 생존에 조금이라도 관심 있는 정부였다면 이토록 무리한 재개발과 강경진압은 시도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토록 큰 참사를 빚고도 이명박정부의 폭력성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 같다. 어제 개각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전임 어청수씨 보다 더 강경파인 김석기씨를 경찰청장으로 내정했다. 경제위기로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서민들의 생존권 요구와 정부 실정에 대한 비판을 더 세게 누르겠다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의 강경대응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국민의 저항을 힘으로만 누르려던 독재정권의 말로는 언제나 비참했다. 우리 국민은 총칼을 앞세운 군사정권도 물리친 위대한 국민이다. 더 큰 저항에 부딪치기 전에 이명박정부는 서민들의 고통과 아우성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지금도 철거현장에는 경찰과 철거민들의 대치가 계속되고 있다. 경찰은 나를 비롯한 국회의원들의 현장 접근도 막고 있다. 더 많은 사상자를 은폐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아니면 사람이 죽어나가도 철거를 강행하겠다는 것인가? 이명박정부는 당장 강제철거를 중단하고 사태수습에 나서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