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초상화를 어진(御眞)이라 하며 어용(御 容)·왕상(王像)·어영(御影)·진용(眞容)·진영(眞影)·수용(晬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 등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1713년(숙종 39) 이후 어진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어진(御眞) 제작은 국왕이 생존해 있을 때 그 모습을 바라보며 그리는 도사(圖寫), 왕이 돌아가신 후에 그리는 추사(追寫),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새로운 진전(眞殿)에 봉안하게 될 경우에 기존에 그려진 어진을 본 떠 그리는 모사(模寫)의 3종류가 있다.
어진(御眞)은 왕 자체로 생각되었으며 국가를 상징하였으므로 어진의 제작을 위해서는 국왕 이하 여러 대신, 그림을 그리는 화원(畵員)과 공장(工匠)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원과 세심한 배려가 따랐다.어진 제작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주로 도감(都監)이 설치되었지만, 왕실의 종친(宗親)들이 주도하는 종부시(宗簿寺)가 관장하거나 몇몇 대신들의 감독 하에서 행해지기도 하였으며 기술적인 부분을 화원에게 조언해 줄 수 있는 유화(儒畵)가 참여하여 미진한 부분이 발견되면 충고했다.
어진(御眞)의 초본(草本)을 완성하면 비단 위에 먹으로 초본을 옮겨 그리고 채색을 한다. 채색이 끝나면 뒷부분을 종이로 배접(後褙)하여 잘 말린 후 영정(影幀)의 네 가장자리를 두르는 장황(粧䌙)을 하고 뒷부분을 비단으로 배접한다. 옥축(玉軸), 붉은 비단을 묶어 만든 장식 끈과 봉안용 고리가 부착되고 마지막으로 어느 왕의 것이며, 언제 제작되었는지를 알려주는 표제(標題) 작업이 끝나면 어진 제작이 완성되며 표제를 마친 어진은 좋은 때를 택하여 진전(眞殿)에 봉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