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에 대한 언론활동을 수행하는 사간원(司諫院)은 종로구 사간동(司諫洞)에 있었는데 왕과 정치에 대한 언론활동은 물론, 현실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으로 확대하고 언론활동을 수행한 사헌부·홍문관과 함께 대간(臺諫)이나 3사(三司)라고 불렀다. 간쟁(諫諍)은 왕에 대한 언론으로서 왕의 언행과 시정에 잘못이 있을 때 이를 바로잡기 위한 언론이고, 봉박(封駁)은 일반 정치에 대한 언론으로 그 대상은 그릇된 정치와 부당·부적합한 인사 등이다.
왕을 대상으로 한 언론인 간쟁(諫諍)은 제도상으로는 사간원 고유의 기능이지만 사헌부·홍문관에서도 수행했다. 탄핵(彈劾)은 관원의 기강을 확립하기 위한 언론으로 부정·비위·범법한 관원을 논란·책망하여 그 직위에서 물러나게 하는 것이었으며 시정은 그 시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정치의 시비를 논하여 바른 정치로 이끌어가는 언론이었고 인사는 부정·부당·부적합한 인사를 막아 합리적·능동적인 정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언론이다.
사간원관은 왕이 중신을 접견하여 정치적 보고와 자문을 받는 조계(朝啓)·상참(常參)에 참여했고, 의정부(議政府)·6조와 함께 정치와 입법에 관한 논의에 참가했는데 왕을 모시고 경서와 사서를 강론하는 경연(經筵)과 세자를 교육하는 서연(書筵)에 입시했고, 왕의 행행에 호종(扈從)했으며 사헌부(司憲府) 관원과 함께 5품 이하 관인의 제수(除授)와 관련된 고신(告身)과 법령의 제정·개정과 관련된 의첩(依牒)을 심사하고 동의했다.
소격서(昭格署)는 도교(道敎)의 일월성신(日月星辰)을 구상화(具像化)한 상청(上淸)·태청(太淸)·옥청(玉淸)을 위해 성제단(星祭壇)을 설치하고 초제(醮祭) 지내는 일을 담당한 관아이며 종로구 소격동(昭格洞)에 있다. 태종 이전에는 하늘과 별자리,산천에 복을 빌고 병을 고치게 하며 비를 내리게 기원하는 국가의 제사를 맡은 소격전(昭格殿)이 경복궁 건춘문 앞에 있었는데, 1466년(세조 12) 관제개편 때 소격서(昭格署)로 개칭했다.
관원으로는 영(令:종5품) 1명, 별제(別提:정6품) 2명, 참봉(參奉:종9품) 2명과 잡직(雜職)으로 15명의 도류(道流)를 두었는데 도류는 도사(道士)라고도 하며 4품으로 거관(去官)되는데,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증을 얻은 사람 중에서 선발됐다. 도류(道流)들은 백의(白衣)와 오건(烏巾)을 착용하여 영보경(靈寶經) 등 경문(經文)을 외우며 치성을 드렸는데, 축원하는 글을 푸른 종이에 써서 불사르는 등 의식의 절차는 엄숙하고 복잡했다.
삼청동(三淸洞)의 제단에는 삼청전(三淸殿)·태일전(太一殿)·직숙전(直宿殿)·십일요전(十一曜殿)을 두어 초제(醮祭)를 지냈는데, 삼청전(三淸殿)에는 옥황상제(玉皇上帝)·태상노군(太上老君)·보화천존(普化天尊) 등 남자상(男子像)을 모셨고, 태일전(太一殿)에는 여자상을 모셔 칠성제수(七星諸宿)를 제사하고 직숙전(直宿殿)·십일요전(十一曜殿)에는 사해용왕(四海龍王)·명부십왕(冥府十王) 등을 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