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중국 뤼순에서 안 의사 순국 100주년 기념행사 공식 승인... 처음, 이례적
written by. 이현오
오는 26일로 순국 100주년이 되는 추모일을 맞아 26일 오전 서울 시청광장에서 정부주관으로 열리는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국민추모제전'과는 별개로 중국 하얼빈 뤼순 감옥에서 순국한 안 의사 추모제와 관련해 중국이 이례적으로 안 의사 순국 100주년 기념행사를 공식 승인했다.
중국 당국이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위원장 박 진) 대표단의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추모 행사를 공식 승인하는 등 안 의사를 추모하기 위해 방중한 한국 대표단을 깍듯이 예우하고 있다고 25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25일 국회 외통위와 선양한국총영사관을 인용한 보도는, 중국 당국이 박 진 위원장과 박상천, 박선영, 윤상현, 박민식 의원 등 5명의 국회 외통위 소속 의원과 동북아역사재단 소속 학자들로 구성된 한국 대표단이 25-26일 하얼빈(哈爾濱)과 뤼순(旅順)에서 여는 안중근 순국 100주년 기념행사를 공식 승인했다고 전했다.
지린(吉林)성과 랴오닝(遼寧)성 등 지방정부의 요청에 따라 중앙 정부가 허가하는 형식을 갖춘 것으로, 한국 방문단이 중국에서 당국의 승인을 받아 안 의사 추모행사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당국은 그뿐만 아니라 방문단의 방중 기간에 맞춰 안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하얼빈 역 내 의거 현장을 일시적으로 통제했다. 안 의사 저격 장소임을 알리고 안 의사 순국을 기념하기 위해서라는 통제 사유 안내문도 내걸었다.
중국은 그동안 우리 당국의 지속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안 의사 저격 지점과 이토 히로부미가 저격당한 지점의 바닥에 삼각형 표시만 해둬 일반인들은 그 의미조차 알 수 없었다.
중국이 한국 대표단의 안 의사 기념행사를 공식 허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한시적이나마 의거 장소를 통제한 것도 극히 이례적이다.
정부 관계자나 국회의원 등이 안 의사 의거 현장인 하얼빈 역이나 순국 장소인 뤼순(旅順)감옥 등을 방문한 적은 있지만 중국 당국의 공식 허가가 난적은 없었다.
이 때문에 그동안 한국 방문단은 비공식 기념행사를 열거나 탐방 형식으로 안 의사의 얼을 기리는 데 만족해야 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하얼빈에서 열렸던 안 의사 의거 100주년 기념행사는 중앙 당국이 불허, 주중대사관과 선양총영사관 관계자들이 불참한 가운데 민간단체들의 '비공식 행사'로 조촐하게 치러져 아쉬움을 남겼다.
광복회 등이 의거 100주년을 맞아 지난해 뤼순감옥에 설치한 안 의사 추모관과 국제 항일열사 기념관 개관식 역시 중국 당국의 승인이 나지 않아 '개인 참관'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를 두고 일본을 의식했기 때문이라는 분석과 함께 한국인과 조선족 동포들의 민족의식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 중국 당국이 민감하게 반응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한편 안 의사 순국 100주년 전야인 25일 저녁에는 서울 효창동 백범 기념관에서 광복회 주관으로 안 의사 증손 토니안 등 유족, 광복회원, 보훈단체 회원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안 의사의 넋을 기리는 추모제향이 거행되며, 추모제향은 우리 전통방식으로 진행된다.
광복회, 독립기념관 등 관련단체에서도 특집다큐멘터리 제작, 창극“불멸의 영웅 안중근” 순회공연, 국제학술회의, 의거현장 재현 전시 및 체험교육 등 다양한 행사를 실시하여 안 의사 순국 100주년 추모분위기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어 중앙추념식은 26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광장에서 100년 전 안 의사가 추구했던 동양평화사상을 통해 세계평화를 기원하기 위해“겨레의 등불 평화의 횃불”주제로 정부 주요인사, 안 의사 유족, 광복회원, 학생, 시민 등 2,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헌화 및 분향, 안중근 의사 약전낭독, 추모공연, 추념사 등으로 진행된다.
추념식 후에는 안 의사의 동양평화사상을 널리 알리고 동아시아의 평화로운 공존을 기원하는“평화의 횃불”을 밝히고 정부주요인사, 한·중·일 시민, 청소년 등이 서울시청광장에서 광화문광장까지 평화대행진을 펼친다.
미국 뉴욕에서는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광복회·흥사단 뉴욕지회 공동주관으로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념식, 유묵전시회, 기념강연회를 개최하여 동포들에게 애국애족정신을 깨우치고 교민들간에 화합의 장이 되는 계기가 되도록 할 계획이다.(kon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