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는 25일 천안함 사태와 관련, 국제사회의 많은 나라가 동의하고 있는 마당에 아직도 논란과 의혹의 제기가 있다”며 이런 것은 남남갈등만을 부추길 것이며, 참으로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오늘 오전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그간 사고원인과 관련하여 성급한 추측, 의혹도 있었지만, 합동조사단의 조사로 그것들이 모두 틀렸다는 것이 밝혀졌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지난 30년 동안, 아웅산 폭탄테러사건, KAl기 폭파사건, 강릉잠수함 무장침투사건, 제2차 연평해전처럼 북한이 지속적으로 도발했음에도, 국민의 안보의식과 대북경각심은 상대적으로 약화됐다”고 말했다.
이어 “6.25전쟁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간담회에서 원로들이 안보불감증에 대해서 크게 우려하는 것을 들었다”며 “외신 FT에서는 ‘천안함 침몰관련 대중들의 분노는 없으며, 특히 젊은층은 둔감하다’고 하면서, 북한소행여부를 묻는 여론조사의 결과도 천차만별이라고 지적했다”며 안보불감증을 우려했다.
특히 “어떤 여론조사기관에 의하면 국민 10명중 3명 이상이 6.25전쟁 발발연도도 모르고, 특히 19세부터 29세의 청년층은 47.3%가 6.25전쟁 발발연도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보다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국가발전의 토대를 더욱 단단히 하는 것”이라며 “공직자들이 중심을 잡고, 본연의 업무를 한 치의 소홀함이 없이 충실히 수행하고, 동시에 경제·사회· 복지 등에서 친서민 정책을 가시화해 국민대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