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 걷는 언론사는 신규진입 시켜야…네이버 모니터링단에 적극 참여할 것 모니터링단, 친노좌파로 구성되면 안 돼.. 거대 포털사들, 편집권력 포기해야
(뉴스파인더)네이버 홈페이지 캡쳐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는 31일 네이버측의 뉴스캐스트 제휴 전면 중단 선언에 대해 네이버의 고충을 이해한다”면서 선정성 문제를 일으키는 언론사들을 즉각 퇴출시키고 정도를 걷는 언론을 신규진입 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미협은 이날 뉴스캐스트의 음란성 기사로 고통 받는 네이버를 이해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무작정 신규제휴 전면 중단은 오히려 더 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인미협은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음란성과 선정성은 기존 진입사들의 문제”라며 네이버 뉴스캐스트에 진입하지 못한 본 협회의 대다수 회원사들은 이러한 음란성 및 선정적 기사를 편집하지 않고 있다”면서 “네이버 측의 이번 방침은 오히려 음란성 기사로 클릭수를 챙겨가는 기존 언론사들의 손을 들어주는 격”이라고 지적했다.
또 네이버 측이 시민단체 인사들로 구성된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문제가 되는 언론사들을 정화시키겠다’는 정책을 함께 내놓은데 대해서는 “취지는 충분히 이해하나 네이버가 불러들일 시민단체들의 정체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네이버 측은 이용자위원회를 구성했으나, 대다수가 참여연대, 민변 등 친노좌파 시민단체 인사들 위주였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번 모니터링단도 친노좌파 시민단체로 구성된다면, 안 그래도 뉴스캐스트 진입사 결정 시 정치적 편향성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는데 불을 지르는 격”이라고 경고하며 “인미협은 모니터링단에 적극 참여해 이념에 관계없이 음란성 기사를 남발하는 언론사를 퇴출시키겠다는 제안을 네이버 측에 공식적으로 알리는 바”라고 천명했다.
단체는 “이번 네이버 측의 발표로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데일리안 등이 주축이 된 인터넷신문협회 측의 윤리강령 발표는 무의미해졌다”며 “인터넷신문협회 회원사 다수는 네이버 뉴스캐스트 진입사다. 민간 영리기업에 불과한 네이버가 더 이상 못 버틸 정도로 음란성 기사를 남발해댄 언론사들이 무슨 명분으로 윤리를 운운하느냐”며 인터넷신문협회부터 자정 노력을 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인미협은 여전히 편집권력을 무기로 수시로 정치 쟁점에 끼어들고 있는 미디어다음과 네이트, 야후 등 거대 포털들에 대해 “초기 혼선을 빚고 있지만, 네이버 뉴스캐스트제는 포털이 정치적 편향성에서 자유롭기 위한 최소한의 대안인 것은 분명하다”며 “1위 포털업체가 과감한 시도를 하는데, 이 틈을 노려 오히려 더욱 더 편집을 강화하며, 특정 정치세력을 지원하는 일은 당장 그만둬야 한다”고 일갈했다.
인미협은 특히 “미디어다음의 경우 노골적으로 차기 정권 창출에까지 나서는 게 아니냐는 의심까지 받고 있다”고 지적하며 “인미협은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정상화를 위해 모든 협조를 다할 것이며, 미디어다음, 네이트, 야후 등도 편집권력을 포기하도록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네이버 측은 전날 뉴스캐스트 서비스를 건전하고 유익한 콘텐츠가 형성되는 플랫폼으로 만들기 위한 선정성 개선방안을 마련했다”며 뉴스캐스트 신규 제휴 중단 방침을 밝혔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시민단체들이 주체가 되는 모니터링 제도를 도입해 이달 말부터 뉴스캐스트에 노출되는 언론사 기사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활동을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모니터링단이 기사가 선정적이라고 판단할 경우 해당 기사는 뉴스캐스트에서 3시간 동안 노출되지 않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