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서울시장 보선 앞두고 악재 사전차단
(뉴스파인더)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사상 초유의 대규모 단전 사태에 따른 책임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민주당에 이어 집권여당인 한나라당 지도부도 19일 일제히 최 장관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유승민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최 장관이 사퇴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며 “‘선조치, 후사퇴’를 말할 게 아니라 물러나고 새 사람이 원인을 규명하고 수습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유 최고위원은 “이번 사태는 인재인 동시에 시스템 붕괴인 만큼 장관 한 사람이 책임지고 물러날 일이 아니라 감사원 감사를 하는 한이 있더라도 국가시스템이 어떻게 이 지경에 왔는지 규명해야 한다”며 “인사 문제만 하더라도 대통령이 광범위하게 결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나경원 최고위원도 장관 한명 사퇴로 그쳐선 안되며 행정 전반을 철저히 점검해 시스템을 바로잡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사태에 대해 당에서는 국정감사와 당정회의를 통해 경위를 파악하되, 유 최고위원의 말처럼 대통령이 결단할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당내에서 비판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원희룡 최고위원은 “대통령은 한전을 질타하고 장관은 전력거래소를 질타하는 것처럼 비치는 게 안타까운 반응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을 자성한다”며 “눈에 보이는 성과에만 주력하고 보이지 않는 위협에 너무 무신경한 점도 함께 각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 최고위원은 현대 삼성 LG 등 수출 대기업이 산업용 전력요금 체계로 절감하는 비용이 통계 잡기에 따라 조(兆)에 육박하는 반면 목욕탕 등은 가격이 비싼 전기를 쓰는 형태로 왜곡됐다”며 “생산성 창출이 낮은 경우는 전기료 부담을 높이고, 서민에게는 보조금 형태의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한나라당 지도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10·26 서울시장 보선을 앞두고 악재를 사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명박 대통령도 지난 16일 한국전력 본사를 방문해 이번 정전사태와 관련, “기본을 지키면 이런 문제가 일어날 수 없다”며 “내가 분통이 터지는데 실제 당한 사람들은 얼마나 속이 상했겠는가”라고 강하게 질타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