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강치구
한나라당 김문수 경기도지사, 미래한국국민연합 주최 포럼에서 청와대와 한나라당' 대쇄신 주문
한나라당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나타난 민심에 대해 청와대와 한나라당의 책임을 지적하고 쇄신의 방향을 밝히는 한편, 선진 강대국을 위한 국가 목표를 제시했다.
7일 미래한국국민연합(공동대표 고영주)이 주최한 지도자 포럼에서 기조발제자로 나선 김문수 지사는 ‘어떤 대한민국을, 누가 만들 것인가?’제하 발표에서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우선 10·26 보궐선거와 관련, 보궐선거는 국민의 일대 심판이었다며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청와대와 한나라당을 향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 7일 미래한국국민연합이 주최한 지도자 포럼에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청와대와 한나라당의 대쇄신을 주문한 김문수 경기도지사ⓒkonas.net
청와대를 향해, 김 지사는 가장 먼저, 청와대부터 국정 대쇄신을 단행해 민생을 최우선적으로 안정시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심각한 일자리, 물가고, 부동산 등 현실 문제 중 무엇 하나라도 제대로 해결하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주어야 한다”며 보고서와 측근들에 너무 의존해서는 민심과 민생의 생생한 실태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대통령께서는 야당 국회의원들과 비판적인 언론, 종교인, 젊은이들을 광범하고 빈번하게 만나서 경청하셔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나라당에는 “철저하게 반성하고 혁신해야 한다”며 쇄신을 위한 6가지 방향 ▶당내외를 아우르는 비상국민회의의 설립 ▶과감한 인재영입과 인적쇄신 ▶젊은 층에 대한 대책으로 당의 역량 중 절반 이상을 온라인에 배치할 것 등을 제시했다.
특히, 김 지사는 '박근혜 대세론'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지금처럼 대세론 운운하며 단수후보체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은 변화무쌍한 현 정서에서 매우 위험하다"며 “내년 대선을 대비해서도 복수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통일 선진강대국을 건설하고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 이 시대 우리나라가 추구해야 할 국가목표”라며 김 지사는 ▶한미FTA의 조속한 체결 ▶기회창출형 성장 ▶사회통합을 위한 복지정책을 그 전략으로 제시했다.
복지정책과 관련, 김 지사는 “대한민국의 미래와 직결된 보육부문에 대해서는 과감한 무상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한나라당은 대한민국의 복지정책을 선도해 온 당이다.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근간인 4대 사회보험 즉, 산재보험을 1963년에, 국민건강보험을 1977년에, 국민연금을 1988년에, 고용보험을 1993년에 선구적으로 실시했다. 새로운 성장과 복지의 시대를 열어 가야할 책임도 한나라당에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러한 전략을 추진할 주체세력에 대해, 김 지사는 “대한민국이 통일 선진강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적과 성공의 역사를 자랑스럽게 알고, 믿는 굳건한 주체세력이 필요하다”며 “뚜렷한 국가비전과 강한 목표의식,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만 대한민국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주체세력을 형성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 이날 포럼에는 500여명의 시민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konas.net
한편, 토론자로는 여영무 세종대 석좌교수, 최우원 부산대 교수, 변희재 미디어워치 발행인, 제희량 건국대 법대3년 등이 참석했으며, 한나라당에서는 정몽준, 전여옥 의원이 참석해 관심을 표명했다.(kon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