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류근일
박근혜 비대위원 선정이 아무래도 첫 단추를 충분한 고려 없이 섣부르게 낀 것 같다.
류근일의 탐미주의 클럽(cafe.daum.net/aestheticismclub)김종인 이상돈 두 위원의 자격과 자질에 대한 논란이야 여하튼, 그 문제가 계속 단합과 통합을 저해하는 불씨로 작용하는 한에는 그것은 한나라당에는 물론, 박근혜씨에게도 득 될 게 없게 되었다.
한나라당 밖에서도 울근불근 하는 소리가 들리고, 천안함 유족들은 가슴을 치고 있고, 한나라당 안에서도 홍준표 전 대표에 이어 이번엔 또 장재원 의원이 “두 사람이 사퇴하지 않으면 다른 위원의 비리도 폭로하겠다”며 울화통을 터뜨렸다.
인사는 오야 마음대로 이기는 하다. 인사가 모든 사람들을 다 만족시킬 수도 없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낙점하기까지는 내정자들이 적절한지 은밀하게라도 크로스 체킹(cross checking) 하는 과정은 밟아야 한다. 박근혜씨는 물론 했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결과는 통합을 굳히기보다는 분열을 굳히는 역효과를 내고 있다. 당 밖의 보수 일각은 박근혜씨에 대한 지지에서 주춤하고 있고, 당 안의 일부 의원들은“뭣 묻은 무엇이 뭣 묻은 무엇을 심판하겠다는 거냐?”는 식으로 반발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인사는 결과적으로 소기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오히려 마이너스를 불러왔다는 이야기다.
안철수 현상을 본다면 지금 박근혜씨에겐 단 한 표가 아쉬운 판이다. 단 둘이 1대 1로 붙으면 박근혜씨가 약간 불리하다는 게 여론조사결과다. 이런 판에 만약 이번 인사에 실망한 보수 일각이 홧김에 떨어져나간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박근혜씨가 한 번 계산해 볼 일이다.
정치는 냉혹한 것이다. 유권자도 냉혹한 사람들이다. 별 것 아니라고 본 것을 간과하다가는 큰 코 다치기 십상인 게 선거판이다. 박근혜씨에게 김종인 이상돈 두 인사들이 어떤 존재인지는 알 길이 없다. 다만 상기해야 할 것은“좋은 요인은 한껏 북돋우고, 나쁜 요인은 주저 없이 없애야 한다”는 선거판의 철칙 이전의 상식이다. 더군다나 박근혜씨는 너무나 중요한 인물이다.
두 인사도 어떻게 처신하는 게 박근혜씨를 진정으로 위하는 길인지를 돌아볼 만하다.(kon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