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광주 제주 민심 악화 빈약한 경쟁력에 공천위 고심 중
새누리당이 이영조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의 공천 철회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뉴스파인더에 따르면 당 공직후보자추천위는 뉴라이트계열인 이 대표를 4·11 총선에서 강남을 후보로 전략 공천했지만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장 시절,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제주 4·3사건과 관련해 한 표현을 놓고 논란이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대표는 현재까지는 그래도 새누리당의 텃밭으로 분류되는 강남을에서 야당 후보인 정동영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을 크게 앞서지 못하면서 그의 공천 철회 여부가 정치권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11일 국민일보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대표는 41.3%로 35.3%를 얻은 정 상임고문을 6%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경쟁력에 비해 각종 논란을 감수하면서 4월 총선에 악재가 될 것이 뻔한 공천을 유지할 명분이 없다는 얘기다.
민주통합당은 즉각 공세에 나섰다. 김현 수석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영조 씨는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제주 4·3 항쟁을 폭동이라며 극우적인 발언을 했던 분”이라며 “새누리당의 공천의 실체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권력과 세력을 강화하기 위한 밀실공천”이라고 비판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 측에서도 부정적인 기류가 감지된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 “비단 광주에만 국한된 게 아니라 지금 우리나라의 여러 실정을 보고 수도권의 선거과정을 봤을 때 이념에 집착하는 논쟁을 벌일 수 있는 소지를 만드는 게 과연 현명한 것인가 공천위가 판단했어야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면서 “5·18 관련 단체나 제주도의 반응을 보면 상당히 염려스러운 점이 없지 않다”고 지적했다.
당 관계자도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문제 제기가 있을 것”이라며 “새누리당의 텃밭인 강남을 지역인 만큼, 문제제기가 강하게 이뤄지면 후보가 갈릴 가능성이 50%는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논란이 되는 대목은 이 후보가 2010년 미국에서 발표한 논문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제주 4·3사건을 각각 ‘popular revolt’, ‘communist-led rebellion’ 등으로 규정한 부분이다.
이를 두고 민주화운동 단체 등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반란’, 제주 4·3항쟁을 ‘폭동’으로 규정했다고 비판하며 그의 공천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당장 32명으로 구성된 국민공천배심원단의 심사를 거치게 되는데 이 심사의 통과가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국민배심원단이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부적격 의견을 비대위에 올리면, 비대위는 부적격 의견의 적정성을 판단해 공천위에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다만 정홍원 공천위원장은 “이 후보의 관련 발언을 둘러싼 논란을 사전에 검토한 뒤 공천을 확정했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지금껏 나온 사안에 대해서는 검토했다”면서 “지역에서 (후보가 되기에) 무리가 있거나 문제가 있다고 제기된 사람은 정밀하게 알아보는 중이다. 아직 증거에 의해 (문제가 있다고) 확정된 것은 드러나지 않았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 후보 본인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나와 “직접 ‘폭동’, ‘반란’이라고 말한 것처럼 알려져 있지만 스스로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면서 “완전히 영어로 쓰인 것을 폭동·반란으로 번역한 기사가 있었고, 그 기사가 여러 사람들이 손질하는 과정에서 확산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나아가 그는 “영어로 된 발표문의 서툰 번역으로 인해 빚어진 불행한 오해이고 상당한 악의를 갖고 왜곡시킨 번역”이라며 “‘popular revolt’란 표현은 민중반란이 아니라 민중봉기, 민중항쟁 정도의 의미였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