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서민들과 함께 위대한 대한민국, 행복한 대한민국 건설
대권순대권도전을 선언한 김문수 경기지사는 23일 당내 대선후보 경선방식과 관련,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이 민심과 가장 일치된 경선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뉴스파인더)김 지사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현재 새누리당의 경선 방식은 대의원과 당원이 50%, 당에서 모집한 국민이 30% 등의 방식인데 이렇게 해서는 민심과 멀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심이 민심과 굉장히 멀어지는 상태의 구조를 가지고는 민심으로만 투표하는 본선에서는 승산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국민과의 약속'으로 경선 방식이 정해져있다고 한다"는 지적에는 "약속은 과거에 한 것이고 우리 대선은 앞으로 다가오는 것"이라며 "자꾸 옛날이야기를 해 미래의 모든 가능성을 없애버리는 것이야말로 위험한 사고"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완전국민경선 방식을 택할 경우 '역선택'의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 같은 곳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선거법상으로 보장하고 있는데 우리도 여야간 합의로 얼마든지 할 수 있다"며 "선관위에서 관리하면 가장 깨끗하고 역 선택도 불가능한 여러 가지 제도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렇게 가지 않으면 지금 우리 새누리당의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완전한 독주체제"라며 "비판과 새로운 경쟁과 도전의 기회가 없어지는 사회는 좋은 사회, 잘하는 리더십이라고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출마의 변과 관련, "국민들께서 굉장히 어렵게 생활하시고 또 젊은이들과 서민들이 모두 고통을 받고 계신다"면서 "서민들과 함께 위대한 대한민국, 행복한 대한민국을 꼭 만들어야 되겠다 이런 결심을 하고 출마를 했다"고 밝혔다.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선전한 것에 대해서는 "박근혜 대표가 총선에서 정말 과반의 의석을 확보한 것은 대단한 일이다. 역시 선거의 여왕이다"면서도 "그러나 수도권과 젊은층의 민심이 우리 새누리당하고 상당히 멀어졌다. 이런 점들을 조금이라도 보완을 하면서 또 부족한 점들을 더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혼자서 추대되는 이런 것들은 아무래도 전근대적인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몽준, 이재오 의원 등 이른바 '비박(비박근혜) 연대' 구성에 대해서는 "그런 식으로 저는 생각하지 않는다. 제가 잘 할 수 있다"며 "박 위원장보다는 내가 본선 경쟁력이 있으며, 새누리당 후보가 된다면 본선에서 필승"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사흘 전까지만 해도 대선에 안 나오고 박 위원장을 지지한다고 했다가 갑자기 결정을 바꾼 것을 놓고 청와대 배후론이 나온다"는 질문에 "박 위원장을 위해 대선에 안 나가겠다고 말한 적이 없다"며 "대통령과는 최근 몇 달 동안 전혀 전화통화를 한 적도 없고 청와대 사람과 만난 적도 없다"고 답했다.
김 지사는 지사직을 그만둘지 여부에 대해서는 "경기도민과 각계의 의견을 구하고 있다"며 "지사직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