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사실로 드러나면 경선 효과 사라질 것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한 비박계 후보인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임태희 전 대통령 실장이 4·11 공천헌금 파문과 관련해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뉴스파인더)김 전 지사는 6일 김 전 지사는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박 후보는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전권을 행사했다"며 "제일 큰 책임은 박근혜 후보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시 박 후보는 비상대책위원의 임명과 모든 공천심사위원의 임명에 직접적으로 책임을 지고 당의 비상대권을 가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공천은 독립적인 공천위에서 했다는 반론에 대해 "현기환 전 의원을 비롯해 모든 공천심사위원을 혼자서 임명했다"며 "당시는 비상사태로 인식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당의 모든 전권을 혼자서 행사했기 때문에 무한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 전 지사는 아는 사람은 반론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당시뿐만 아니라 지금도 계파도 없이 당이 사당화 돼 있다"고 강조했다.
임 전 실장도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박 전 위원장이 지난 4·11 총선 공천 과정에 대해 모를 수는 없다 단언하면서 당시 (현기환 전 의원이) 박 전 위원장의 메신저 역할을 했다는 것은 (당의) 공통된 인식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거듭 공천헌금 사건의 핵심인물들이 당시 공천에서 (박 전 위원장의) 메신저 역할을 했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박 전 위원장은 이 사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찰의 발표가 나올 때까지 경선을 중단하든지, 경선 이후 공천헌금이 사실로 밝혀지면 박 전 위원장이 (후보직을) 사퇴하겠다고 약속을 하면 확실해진다"고 덧붙였다.
(대선) 경선이 끝난 후에 공천헌금이 사실로 드러나면 경선의 효과는 모두 사라질 것이다"며 그런 체제로 국민들에게 어떻게 표를 달라고 선거운동을 할 수 있겠느냐고 대선 승리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