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 31. 지방선거는 노무현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차원을 넘어선 사실상의 정권탄핵이다. 지역과 계층, 이념과 세대를 초월한 대다수 국민들은 이대로 계속가면 국가공멸의 길을 걸을 것”이라는 절박한 위기감을 이번 선거에서 절절하게 표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대통령이나 여당은 이런 거센 민심에 대해 별로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진의가 왜곡됐다는 해명은 있었지만 “선거에서 패배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나에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한두 번 선거로 나라가 잘되고 못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노대통령의 발언 속에서 성난 민심에 대한 두려움이 읽히지 않는다.
이번 선거를 통해 드러난 민심은 한마디로 이대로는 못 살겠다”는 것이다. 결국 이번 선거를 통해 표출된 민심은 한나라당으로 하여금 국민을 불행 속에서 구출하고, 흔들리는 나라를 위기 속에서 구해내라는 ‘구국의 명령’이다. 이는 국민을 위한 철저한 봉사정치를 통해 2007년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함으로써 마침내 이뤄질 수 있는 것이다.
국민적 명령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균형과 통합의 리더십이 반드시 필요하다. 치열한 정권쟁취 전선에서 적전분열은 곧 패배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전당대회와 대선후보 선출과정을 앞둔 한나라당으로서는 넘어야 할 산이 한둘이 아닌 셈이다.
앞으로 있을 전당대회와 대선후보 선출과정에 있어서 한나라당 의원들의 유형은 유력대선주자를 미리 선택해 올인 하는 유형, 대선후보 경선에 중립적 입장을 견지,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의 대선승리를 위해 올인 하는 유형, 대선후보군의 지지율을 관망하며 좌고우면하는 유형 등 대략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적 입장, 개인적 관계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다양한 고민과 선택이 혼재할 것이며, 이런 입장과 견해차를 무조건 비판할 필요는 없고 비판해서도 안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용과 절차상 성공적 경선, 경선승복문화 정착 등을 통한 2007 대선필승이라는 목표의 달성을 위해 합리적이고 공정한 경선의 룰, 당의 단합과 통합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찾는 고민은 반드시 필요하다.
개인적 입장과 생각이 다르다고 정권탈환이라는 궁극적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에 걸림돌을 놓아서는 곤란하다. 당과 나라를 먼저 생각하는 마음으로 힘을 하나로 합치지 않는다면, 빼앗긴 10년의 고통을 치유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해 진다.
결국 특정계파에 치우치지 않는 중립형 당대표의 추대를 통해 공정한 대선후보 선출을 관리할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 중요하고, 이 과정에서 초선의원들의 임무와 역할이 그만큼 크다고 본다.
공정한 경선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일정 수(10인) 이상의 초선의원들이 결집 중립적이고 신망 받는 다선의원을 리더(관리형 당대표)로 추대, 대선후보 공정경선과 대선필승의 도구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공정경선을 통해 대선후보가 결정되고 난 뒤에는, 각자의 생각이 다르고 불만이 있더라도, 오로지 당의 입장에서 자신의 정치생명을 걸고 대선후보의 당선에 모든 것을 던져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2007년 대선은 단순히 한나라당을 위한 싸움이 아니라, 위기에 처한 국민과 나라를 위한 구국의 결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