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우당 최고위원이며 친노(親盧) 직계로 알려진 김두관(金斗官) 경남지사 후보가 정동영(鄭東泳)의장을 당에서 떠나라”고 맹공(猛攻)함으로써, 5·31 지방선거 패배 이후 예상되는 ‘정계 大개편’의 불꽃이 열우당 내부로부터 타오를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이보다 앞서, 같은 친노 직계인 이강철(李康哲) 청와대 정무 특보가 정동영 의장의 행보를 일컬어 “정치적 꼼수 안 된다”고 비판한 것을 볼 때, 정동영 의장에 대한 공격이 힘의 분포 상 같은 계열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향후 정계 개편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 지 진단을 가능케 하는 대목이다.
주목되는 것은 김두관 후보의 당 지도부 공격이 열우당의 실용주의 경향 전도를 타겟 삼음으로써, 당의 정체성(正體性) 상실을 지목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이는 곧 친북·좌파 순혈주의의 고수를 주장하는 것인 바, 자유·보수·우익 세력의 입장에서 그리 반가와 할 일이 아니며 오히려 불길한 기운마저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그동안 정동영 의장 계열은 지자제 선거 패배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민주당 또는 고건 계열과의 ‘통합’을 내걸어, 그 패배 원인의 진단과 향후 처방 곧 정계 개편 방향을 전혀 다른 곳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번 김두관의 정동영 공격은 자칫 여당의 극심한 내홍(內訌)으로 비쳐져, 친북·좌익 세력의 약화로 비쳐질지 모르나, 문제는 그리 간단한 것 같지 않다.
초기에는 이들이 분파(分派)와 당쟁(黨爭)을 거듭하여 비참하게 조차 비쳐질지 모르나, 비록 소수파라 해도, 정체성을 회복하고 이를 중심으로 결집력(結集力)을 증대시킨다면, 세력 회복의 모멘텀을 얻을지도 모른다. 여기에 흥행과 이벤트를 섞어, 권력층의 프리미엄을 활용한다면, 또 하나의 單一여당 세력으로 再부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나라당이 자만·방심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한나라당이 중도 경향을 가능한 탈피하여, 보수 우익’의 전통을 회복하고, 이를 중심으로 결집력을 확대할 때만이 대선 승리를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