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이 대통령도 유치전 가세 일자리 창출효과 기대
유엔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 사무국 유치 도시를 결정하는 2차 이사회가 18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유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뉴스파인더]특히 2020년까지 총 8000억달러, 우리 돈 904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기금을 운용할 사무국결정이 오는 20일 투표로 결정되는 만큼, 이명박 대통령도 유치전에 가세했다. 사무국을 유치할 경우 수천 명의 상주 직원과 연간 120여 차례의 국제회의 개최 등 가시적인 경제효과에 고급 두뇌를 위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이 대통령은 지난 17일 저녁 인천 송도에서 열린 '녹색기후기금 2차 이사회 환영 리셉션'에 참석 GCF 이사들을 직접 만나 한국의 GCF 사무국 유치 의지를 전달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국이 GCF 사무국을 유치하게 될 경우, 국제기구의 동북아 지역 유치를 통해 '새로운 지역에 새로운 기회(New Land, New Opportunity)'를 부여하고, 한국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잇는 가교 역할(Bridging Role)을 하며, 전략-기술-재원'으로 이어지는 녹색 트라이앵글(Green Triangle)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게 되는 각별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사무국 유치전에는 한국을 비롯해 독일, 스위스, 폴란드, 멕시코, 나미비아 등 6개국이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독일이 강력한 유치 후보국으로 경쟁하는 중이다. GCF 유치 도시는 이사회 마지막 날인 20일 이사진 투표로 결정된다. 24개 이사국 대표들이 가장 적은 표를 받은 국가를 제외하고 과반수 이상의 지지를 받은 국가가 나올 때까지 계속 투표하는 멀티플 라운드 방식이다. 투표가 끝나면 다음 달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총회에서 공식 인준 절차를 거쳐 사무국 유치 국가가 확정된다. 한편, GCF는 환경 분야의 세계은행과 비슷하다. 세계 각 국이 출연한 환경 기금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개발도상국의 환경오염 물질을 줄이는 게 주 임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