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쯔쯔가무시증 90% 가을에 발생…귀가 후 샤워나 목욕해야
질병관리본부는 가을철에 환자 발생이 증가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의 예방을 위해 야외에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20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 전경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며 고열, 오한, 근육통, 인후염, 가피(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발진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가을철에 발생한다.
야외 활동이나 농사 작업 시 유충에 물리지 않도록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게 좋다. 또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주로 가을에 발생한다.
렙토스피라증은 쥐 등의 설치류, 소·돼지· 개 등의 가축 등의 소변에 피부 상처 등이 노출돼 감염된다. 고열,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이 건조되면서 공기 중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출혈소견,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 같은 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고여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하지 않고 고여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 특히, 장화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또 쥐의 서식 여부를 확인해 배설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 발열 등 의심 증상 발생 시에는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보건소를 통해 매년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