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5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에 적정을 기하고 일부 의료급여 수급자의 도덕적 해이 사례 등의 선제적 예방을 위해 전방위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부양의무자 기준 단계적 폐지 추진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22년까지 큰 폭으로 증가(160만명-250만명)될 것이 전망됨에 따른 조치이다.
이를 위해 10월부터 기초생활보장 적정급여 TF(반장 복지정책관)를 구성하고, 매월 한 차례 이상 제도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실행과제를 검토하고 있다.
현행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금융재산, 자동차 등 소득‧재산 정보 연계 확대, 연계방식 개선 등을 추진하고, 이를 위해 관계 정부 부처, 금융기관 등 정보보유 기관과 협의도 실시할 예정이다.
최근 기초생활보장 부정수급 또는 의료급여 과다이용 등의 사례가 드러나 국민들의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경찰 수사 중인 특정 수급자의 경우는 기부금을 자녀 의료비로 모집하고도 호화생활에 유용하고, 이를 숨긴 채 기초생활보장 급여를 부정수급한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한편 의료급여는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의료를 보장하기 위해 본인부담을 면제 또는 경감하는 제도로 빈곤층의 의료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본인부담 인하등 대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의료급여 제도를 악용하는 사례들을 방지하기 위해 장기입원 사례관리 강화, 의약품 과다 투약 관리 강화, 연장승인 미신청자에 대한 일부 본인부담 부과 등 제도 전반에 대한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