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 에 따르면, 3일 2006년도 건강보험의료기관 이용자 분석>결과, 우리나라 건강보험 가입자의 2006년 1년 동안 의료기관 이용자 현황을 보면 10명 중 9명인 90.6%가 건강보험을 통해 의료기관을 한 번 이상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3년 동안 의료기관을 한번 이상 이용한 사람은 100명 중 97명(97.46%)으로, 대부분의 국민이 건강보험을 통해 의료이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보험료 계층별로 의료기관 이용자 비율을 분석한 결과, 보험료를 많이 내는 사람일수록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도 연령별 의료기관 미 의료이용자 비율을 보면, 취학전 아동(6세미만)은 1.84%, 학령기 아동(6~12세)은 3.53%, 청소년(13~19세)은 11.26%의 미 의료이용자 비율을 보여 12세 이하의 학령기 아동 이하에서 의료기관 이용자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청소년기부터 급격히 높아져 20대 남성이 21.05%로 가장 많이 의료기관을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대 이후부터 다시 급격하게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이 낮아져, 신체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아동 및 노인층에서는 1년 동안 의료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이 타연령층에 비해 적었다.
건강보험료 납부금액(소득수준)을 10분위로 나누어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을 보면 1분위(하위10%) 11.56%에서 2분위 13.39%로 높아졌다가, 3분위에서 12.57%로 낮아지기 시작하여 8분위에서는 7.39%로 9분위 6.87%, 10분위 6.78%로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이 최저를 보이고 있어, 건강보험료 납부금액이 적을수록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건강보험료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장년층에 비해 소득수준이 높지 않은 건강한 젊은 계층들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2006년 건강보험 적용인구 중 지역별로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을 보면, 인천시와 강원도가 10%이상의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을 보여 두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대도시 지역보다는 농어촌 지역이 의료기관 미 이용률이 낮게 나타남을 볼 수 있으며 전북 지역이 타 시·도에 비해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모든 지역에서 의료기관 의료 미 이용자 비율이 약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남성들이 상대적으로 의료기관을 덜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004년 건강보험 가입자(피부양자 포함)의 3년간(2004-2006년)의 의료기관 미 이용자 비율은 2.54%로 100명 중 97.5명이 의료기관을 이용하고 있고 지역 가입자 보다 직장 가입자가 상대적으로 의료기관 이용자 비율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3년 안에는 대다수의 가입자들이 한번이상 진료를 받아 의료의 이용이 생활화 되어 건강보험제도가 국민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