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뉴스 정승로 기자=보건복지부는 3일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 기본계획 재생의료 실시기관 임상연구에 340억 규모 R&D 예산 지원 정부가 올부터 3년간 재생의료 실시기관의 임상연구에340억원 규모의 RD 예산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책브리핑에서 또한 공익목적 임상연구 지원 절차를 통합적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 재생의료 분야 임상연구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늘 개최한 제1차 첨단재생의료 실시기관 간담회에서 첨단재생의료 실시기관으로 첫 지정된 상급종합병원 22개 기관과 함께 재생의료 정책방향에 따른 임상연구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 기본계획은이날 설명회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조건부로 지정된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의 기관장 및 재생의료연구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는 정부의 향후 5년간 재생의료 정책 방향의 세부추진 계획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재생의료실시기관에서 올해계획중인 20개 내외의 재생의료 임상 연구가 엄격한 안전관리체계내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재생의료실시기관장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정부는 재생의료실시기관의 임상연구에 대한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하고 공익목적의 임상연구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재생의료 분야 임상연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의 최종 승인을 받은 재생의료 실시기관의 임상연구에 대해 별도 선정 절차를 거쳐 올부터 향후 3년간 340억원 규모의 RD 예산을 지원한다.
또한 건강보험의 공익목적 임상연구 지원 절차를 재생의료 임상연구 심의 신청단계에서 통합적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재생의료 분야 임상연구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현재 22개 상급종합병원에 이어 올해 상반기 중에 종합병원급 이상 병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명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 신청을 희망하는 의료기관은 시설,장비,인력,표준작업지침서 등 첨단재생의료 안전 및 지원에 관한 규칙 제3조에 따른 기준을 충족해야한다. 강도태 복지부 제2차관은 첨단재생의료는 과거의 의학으로는 불가능한 영역이라고 여겨지던 많은 희귀,난치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혁신적 의료기술 분야라면서 엄격한 안전관리체계 내에서 새로운 치료방법이 임상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재생의료 임상 연구 활성화에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