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科學)의 날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그 대중적 확산을 위해 제정된 기념일
과학(科學)을 통하여 생활의 질과 삶을 향상시키는 생활과학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매년 4월 21일은 과학(科學)데이 로 과학기술의 발전과 그 대중적 확산을 위해 제정된 기념일. 일제강점기인 1934년 발명학회가 찰스 다윈의 기일을 기념하여 4월 19일을 '과학(科學)데이'로 제정하여 과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과학의 대중화를 통해 민족의 역량을 제고하고자 한 바 있다. 현행 과학의 날은 1968년 과학(科學)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과학기술처 발족일인 4월 21일로 지정됐다.
과학(科學)의 날'의 역사는 일제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과학대중화운동단체였던 발명학회가 과학기술 지식의 보급과 계몽, 미신타파, 문맹퇴치 등 생활의 과학화를 위해 찰스 다윈이 죽은 지 50주년이 되는 해인 1934년 4월 19일을 기념하여 제1회 과학데이 행사를 거행하고 과학기술보급 행사를 개최했다. 앞으로도 과학은 미래를 개척하는 도구나 방법이다.
과학(科學)데이 행사는 1938년까지 5회에 걸쳐 행해졌는데 일제강점기 민족과학기술자들을 주축으로 하여 김용관 여운형 주요한·이인 등 각계의 민족지도급 인사들이 참여하여 범 민족적이고 대규모로 진행한 큰 행사였다. '과학 데이'는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에 과학기술의 대중화를 통해 우리 민족의 역량을 키우고자 제정했던 역사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날이었다. 나라는 빼앗겼어도 민족의 미래를 위해 과학발전을 시켜 독립을 해야겠다는 민족적 신념과 의지가 있었다고 본다.
이후 1967년 4월 21일 과학기술처 발족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1968년 4월 21일을 <과학의 날에 관한 규정>에 의해 ‘과학의 날’로 지정했다. 과학(科學)의 날은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인류문병의 발전과 지구생태계보호를 통하여 유용한 개발과 활용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과학은 우리의 생활의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고 때로는 환경파괴의 재앙이 되기도 했다고 본다. 군사적인 부분의 무기나 장비개발경쟁을 통하여 많은 곳에서 전쟁이 발생하여 수많은 생명과 재산을 파괴하는 도구로도 활용되고 인류의 발전을 위한 항공 자동차 등 우주개발에도 첨단과학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나 전자나 전기분야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미래진행형이다. 앞으로 인류평화를 위해 환경재앙을 극복하는데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