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도간 공동 협력…일자리 프로젝트 중점 지원
정부는 올부터 3년간 광역 연계협력사업을 위해 3000억원을 투입한다.
지경부는 25일 지역 투자 확대,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10여개 프로젝트를 선정, 3년동안 3000억원을 투입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은 시·도의 분절적인 지역사업 추진을 지양하고 광역 차원에서 시·도간 연계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작된 사업이다.
이를 위해 광역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도와 산학연이 참여한 기획단이 3개월간 운영된다.
5년 간 4만 2000명의 지역 일자리 창출과 9조9000억원의 투자 유발 및 155개 기업 이전 효과가 있는 33개 광역 사업이 기획된다.
이 중에서 사업자 신청을 받아 10여개 사업을 최종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33개 사업에 610개의 지역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 총 861개 기관이 참여 의사를 표명했고 바이오, IT, 부품소재, 신재생에너지 등 분야에서 시·도들이 공동 사업을 희망하는 등 큰 관심을 나타냈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지경부는 내달 6일까지 공고하고 민간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내달 말 최종 사업자를 선정 할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지역기업이 참여하는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 신청하고, 연계협력사업에 2개 이상의 시·도가 반드시 공동 참여해야 한다.
사업계획에는 산학연 컨소시엄 지역 투자, 일자리 창출, 기업이전 계획 등 지역경제 기여도를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형태로 제시해야 한다.
재원조달은 총사업비 대비 지방비 분담비율과 민간 분담비율이 각각 25% 이상이어야 한다.
평가는 기존의 R&D 평가 방식을 탈피해 지역사업의 특성에 맞게 지역경제 기여도와 지역간 연계협력 수준을 중심으로 평가를 할 계획이다.
평가 항목별 평가비중은 사업내용(30%), 지역경제 기여도(45%), 연계협력 수준(15%), 재원 조달·사용 계획(10%) 순이다.
또 평가시 우수 중소기업 컨소시엄, 대·중소 상생협력형 컨소시엄, 지역의 기존 인프라 활용 및 지방비 분담금 비율·민간 분담금 비율이 높은 컨소시엄을 우대할 계획이다.
김경수 지경부 지역경제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각 시·도는 소모적 경쟁을 탈피하고, 광역 차원의 인적·물적 기반을 공유할 수 있을 것” 이라며 “이번 사업은 지역의 동반성장을 촉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